•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165건

  • 가오닉스, 인천공항 유휴지 개발사업 추진
  • [edaily] 가오닉스(17050)가 인천 국제공항 주변에 골프장 및 부대시설을 개발하기 위해 본격 준비에 나섰다. 가오닉스는 최근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사업자 공고를 낸 국제공항 유휴지 민간투자개발 사업에 국내외 굴지의 회사들과 컨소시엄으로 참여키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가오닉스는 지난해 9월 리츠칼튼 컨트리클럽의 지분을 취득한 이후 지속적으로 스포츠 관련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이번 사업자에 선정되면 인천공항 주변에 골프장을 건설, 리츠칼튼 컨트리클럽 및 중앙 컨트리클럽을 연계해 통합 골프장 매니지먼트 사업을 전개할 방침이다. 이번 개발사업을 위해 가오닉스는 설계 전문 회사인 선진엔지니어링 및 중앙 컨트리클럽과 이미 전략적 제휴를 맺어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해외 굴지의 스포츠사업자인 I사와 제휴를 추진 중이이다. 이밖에 국내 굴지의 건설 시공사와도 협상을 진행중이다. 선진엔지니어링은 전문 엔지니어링 회사로서 이번 컨소시엄에서 개발지역의 설계 및 개발계획을 담당할 예정이다. 가오닉스의 황경호 대표는 "인천국제공항 주변은 퍼블릭 골프장을 건설하기에 편리한 교통 조건과 훌륭한 경관이라는 자연적인 요건을 갖추고 있다"며 "가오닉스의 운영 노하우 및 해외 스포츠 사업자와이 제휴를 통한 마케팅 등을 가미해 세계적인 골프장으로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2.02.19 I 권소현 기자
  •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시민의 채널" 위탁사업자 공모
  • [edaily]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은 오는 30일까지 퍼블릭 액세스 채널인 "시민의 채널" 위탁사업자를 공모한다고 15일 밝혔다. 위성방송 개국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될 "시민의 채널"은 위성방송의 자체채널중 하나로 운영될 예정이다. 위성방송은 오는 30일 사업자 접수를 통해 공정한 심사를 통해 6월 18일 위탁사업자를 최종 선정, 발표할 계획이다.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은 시청자의 방송에 대한 참여와 접근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위성방송의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시청자 권익보호에 합치될 수 있도록 자체채널의 일부를 할애했다고 설명했다. 또 채널의 독립성 및 공정성 확보를 위해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 등록한 시민사회 단체 등에 채널 운용을 위탁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시민의 채널" 위탁사업자는 방송위원회에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 등록을 마쳤거나 신청서 접수마감시간까지 방송위에 등록 신청을 끝낸 비영리 법인으로 시민사회단체의 대표성을 갖춘 단체로 참가자격이 제한된다. 세부 심사 항목은 ▲방송 분야의 적합성 및 신청인의 적정성, ▲NGO 및 시청자 참여 조직화의 적극성, ▲채널운용계획의 우수성, ▲경영계획의 적정성 등이다. 한편,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은 채널사업자 선정의 전과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하기 위해 제반 질의사항을 홈페이지(www.kdb21.com) 게시판에 공개하기로 했다.
2001.05.15 I 이경탑 기자
  • (용어풀이) 공적자금이란
  • 공적자금이란 금융부실 해소 등을 위해 투입되는 공공의 자금을 말한다. 외환위기 후 정부와 IMF는 금융기관 구조조정을 위해 퍼블릭 펀드(Public Fund)를 조성하기로 합의했고 공적자금은 이를 직역한 것이다. 정부가 국회동의를 얻어 조성한 64조원의 공적자금은 그동안 자산관리공사와 예금보험공사가 금융기관 부실채권 매입이나 부실금융기관의 증자지원, 파산 금융기관 고객의 예금 대지급 등에 사용해왔다. 과거 금융부실에 대해서는 주주들이 무한책임을 져 왔지만 금융부실의 신속한 해결이 오히려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는 이유로 20세기 이후 선진국에서 금융부실을 공적자금을 통해 해결하는 방식이 유행했다. 영국과 미국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이 공적자금 투입방식을 통해 금융부실을 해소했으며, 일본도 98년 금융위가가 심화되자 총 60조엔의 공적자금을 조성했었다. 공적자금은 정부 재정에서 집행되는 돈은 아니지만 국회동의를 통해 정부가 지급을 보증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정부보증채무에 해당한다. 정부가 공공자금을 조성, 부실채권매입과 증자 등으로 금융부실을 해소하고 이후 해당금융기관이 정상화돼 주식값이 오르면 보유주식의 처분 등을 통해 투입분 회수뿐 아니라 수익도 남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공적자금이 제때 회수되지 않을 경우 최종 손실분을 재정에서 메워야 하고 공적자금의 이자도 재정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공적자금 조성자체는 곧바로 국민의 세금부담으로 연결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부실은행 증자를 통해 공적자금 투입은행의 대주주가 됐지만 공적자금 투입에도 불구하고 대우사태 등으로 추가부실이 발생하고 경영정상화가 늦어짐에 따라 정부보유 주식 처분을 통한 기존 투입분의 회수에 차질을 빚고 있다.
2000.09.22 I 조용만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