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8,369건
- 금리 인상·주택價 하락에 인기 시들해지는 정책 모기지
-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금리 인상기에 들어서며 정책 모기지의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 지속과 주택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표=최승재 의원실.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승재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첫 판매를 시작한 50년 초장기 모기지는 보금자리론의 경우 한 달 간 19건, 총 33억원으로 가구당 약 1억7200만원을, 적격대출의 경우 11건, 총 31억원으로 가구당 평균 2억7900만원을 공급했다.주택금융공사는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한 정책 모기지로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보금자리론은 집값 6억원 이하, 연소득 7000만원 이하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하는 장기·고정금리 대출이다. 적격대출의 경우 집값 9억원 이하를 대상으로 하며, 연소득에 대한 별도 기준은 없는 상품이지만, 보금자리론과 달리 별도 우대금리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둘 다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해 많은 인기를 끌었던 정책 모기지 상품이다.하지만 초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높은 수준의 금리 인상이 계속 단행되는 가운데, 부동산 가격 역시 하락세를 거듭하면서 정책 모기지인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에 대한 인기는 차게 식기 시작했다.지난해 7월 기준 9876건이던 보금자리론 공급 실적은 지난 8월 기준 3743건으로 1/3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졌다. 적격대출도 지난해 7월 기준 1만6692건이었던 신규 공급 실적이 지난 8월 기준 6660건으로 줄어들었다. 건수가 줄어들면서 공급 금액 역시 크게 줄었는데, 지난해 7월 기준 1316억원을 공급했던 보금자리론은 지난 8월 기준 292억원만 공급하는데 그쳤다.집값이 폭등하고, 부동산 시장의 경색에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신청 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40년 이상 보금자리론의 공급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7월 공급 건수 기준 2.3%에 불과하던 40년 만기 보금자리론의 공급 비중은 지난 8월 기준 18.6%까지 폭증했다. 같은 기간 30년 만기의 비중이 77.8%에서 63.5%로, 20년 이하의 비중이 20%에서 17.5%로 줄어든 만큼 40년 만기의 비중이 늘어난 것이다.반면 적격대출에서는 30년 만기의 비중이 증가하고, 40년 만기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내 집 마련의 수요는 있으나 부동산 폭등,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공급 건수가 크게 감소하는 가운데 6억원 이하 주택 대상인 보금자리론에서는 40년 이상 장기 모기지 비중이, 9억원 이하 주택 대상인 적격대출에 대해서는 30년 만기 비중이 증가해, 수요층별로 상품 공급량에 차이가 생긴 것으로 해석된다.이런 가운데 지난 8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50년 초장기 모기지의 공급 실적을 향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최 의원 측은 지적했다.최승재 의원은 “부동산 폭등으로 서민들이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의 숫자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의 공포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며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 또한 멀어지고 있다”며 “안심전환대출이 시행되면서 정책 모기지 금리가 4.55% 수준으로 소폭 인하됐는데, 향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정책 모기지 본연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강구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집값은 '뚝' 이자부담은 '쑥'…2년전보다 집사기 더 어렵네
-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집값이 오르든 내리든 직장인이 집 사려면 결국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해야 하는데, 답답하네요.” 최근 집값이 떨어지자 ‘내집마련’에 나선 직장인 A씨는 주택담보대출 상담을 받으러 은행을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지난해 12월 초 경기도 수원에 있는 아파트를 7억원대에 구매하려고 은행에 주담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한도(30년 기준)를 알아봤을 때만해도 3억3000만원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이달 다시 알아보니 2억7000만원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금리가 4.5%였는데, 그사이 6.1%로 오르면서 한도에 영향을 미쳤다. 결국 A씨는 다른 자금을 끌어모아 집을 구매해야 하거나, 매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급등하는 금리에, 하루가 멀다하고 줄어드는 DSR 한도집값이 하락 국면에 들어섰지만, 서민들의 집 구매하기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집값이 떨어지는 대신 금리가 대폭 오르면서 은행에서 주담대로 빌릴 수 있는 총 DSR 한도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695조83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696조4509억원)과 비교해 1조3679억원 줄어들었다. 지난해 12월 말(709조529억원)과 비교하면 올해만 12조원이 줄어들었다. 가계대출이 줄어드는 건 신용대출이 대폭 감소한 게 큰 이유지만, 가계대출 비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담대 증가세가 꺾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지난달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달(507조3023억원)대비 0.21% 증가한 508조3777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0.9%가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 집값은 꺾였지만, 금리 급등에 따른 대출 이자 부담과 경기침체 우려에 주택 매수세가 함께 꺾인 탓이다. 반면 주담대 잔액에 포함돼 있는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9월말 기준 134조1976억원으로 전달대비 0.21%가 늘었다. 특히 실제 올해 1월말부터 9월까지 주담대가 1조5596억원 늘어나는 동안 전세자금대출은 4조6824억원이 불어났다. 사실상 주담대 증가의 대부분을 전세자금이 견인한 셈이다. 경기도 수원시의 한 은행에 담보대출 금리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사진=뉴스1)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채가 빠른 속도로 오르면서 이를 준거금리로 하는 전세대출 금리가 빠르게 오른 것”이라며 “깡통전세가 지금처럼 속출하고 역전세난이 계속되면 상환부담이 급격히 증가해 부실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봤다. ◇금리 급등에 원리금 부담도 껑충 가계대출이 전반적으로 주춤한 이유는 금리 인상 때문이다. 금리가 오르면서 이자 부담이 커진 차주들이 신용대출을 갚거나, 주택구매를 미루며 대출을 받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히 주담대의 경우 금리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금리로 인해 DSR 한도가 축소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 실제 앞선 A씨의 사례처럼 지난해 12월 초 7억원 30년 주담대 기준 기존 3억3000만원이 2억7000만원으로 축소됐다. 매달 내야하는 상환액은 161만8786원으로 지난해 12월초와 비교해 고작 5만원 수준만 줄었다. 특히 최근 나온 40년 주담대 상품으로 바꿔도 주담대 한도는 3억원밖에 되지 않아 별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지난해 12월 3억3000만원의 대출을 받았다면 내야 하는 원리금은 금리 4.5%로 계산해 대략 167만원이지만, 현재는 6.1%로 올라 199만원으로 월 32만원 정도 부담이 커진다. 문제는 주담대 금리가 앞으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지난달 30일 기준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연 7%를 넘겼다. 이에 따라 같은 날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의 고정금리형 주담대 금리는 연 4.73∼7.14% 수준이다. 이는 1주일 전인 9월 23일(4.380∼6.829%)과 비교하면 상단이 0.312%포인트, 하단이 0.350%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DSR에 영향을 끼치는 게 정부의 정책, 본인연봉, 대출기간, 금리인데 정책과 내 연봉과 기간은 그대로인 상황에 금리가 오르고 있으니 결국 총한도는 줄었다고 봐야 한다”며 “결국 집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모아둔 돈이 부족하다면 지난 2년전과 마찬가지로 영끌을 해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위기의 X' 권상우 "연기 잘한다는 반응 처음…랩은 어려워" [인터뷰]②
- (사진=웨이브)[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위기의 X’ 권상우가 이번 작품을 통해 접한 여러 반응과 가장 인상깊던 피드백에 대해 언급했다. 권상우는 4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작품을 하면서 배우 인생 처음으로 ‘권상우 연기 잘한다’는 소리를 들어본 것 같다”라며 “제 친형도 그랬고, 다른 주변 사람들, 시청자들의 반응을 지켜보며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반적으로 작품에 대한 평이 좋았다”고 회상했다. 지난 9월 2일 공개된 웨이브 오리지널 ‘위기의 X’는 희망퇴직, 주식떡락, 집값폭등까지 인생 최대의 하락장을 맞은 위기의 ‘a저씨’가 인생 반등을 위해 영끌하는 현실 격공 코미디를 그린 드라마다. 퇴직 후 인생 2막을 시작하려는 한 남자의 현실에 닥친 문제를 코믹하게 그려내 많은 이들의 공감과 웃음을 얻었다. 극 중 ‘a저씨’ 역할을 맡은 권상우는 주식 및 코인 떡락, 집값 폭등, 희망퇴직, 탈모, 부부 생활 등 결혼한 중년 남성들이 공감할 법한 다양한 소재들이 주제인 여러 에피소드들로 지금까지 쌓아온 코미디 연기들을 집대성해 극에 녹여냈다. 극 중 부부로 호흡한 임세미와 차진 호흡은 물론 MZ세대 스타트업 ‘루시도’의 구성원들과의 환장의 케미로 많은 이들의 웃음을 이끌어냈다. 권상우는 “어떤 위치에 있는 사람이건 고통과 불안이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저는 배우로서 가야 할 방향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다”고 극의 취지에 공감했다. 다만 “모든 사람들이 고민을 고통스레 지나야 할까 싶다. 그럼에도 지나보내면서 살 만한 세상이 아닐까 이정도라면, 그런 생각을 하셨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덧붙였다. 극 중 비오의 곡으로 랩을 하는 장면이 화제를 모은 것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권상우는 “사실 랩까지는 안하려고 했는데 몇 마디 안되는 대사였는데 랩이 되니까 정말 어려웠다”라며 “사실 어떻게 될지 모르고 현장에서 시작한 연기였다. 상당히 민망했지만 스탭들은 빵 터졌다”고 회상했다. 또 “그런 틀리는 모습, 창피한 모습도 사람들은 좋아해주시는구나 생각이 들었다. 주인공의 느낌이 공감되고 가장으로서 뭐 그런 자존심쯤이야 내려놓을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실제 래퍼 비오에게 연락을 받았는지 묻는 질문에는 “비오한테 연락은 안왔다(웃음)”고 아쉬움을 드러내 웃음을 자아냈다.
- 최근 3년 주택 구매자 10명 중 3명, 실거주 아닌 투자 수요
-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최근 3년 간 주택 구매자 10명 중 3명은 실거주가 아닌 투자 수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가격 대비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이 80%를 넘는 `갭투기`가 12만명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무리한 `갭투기`가 `깡통전세`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세입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국토교통부가 심상정 정의당 의원실에 제출한 주택자금조달계획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개인 주택 구매자 150만 6085명(연령 미상 제외) 중 임대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한 매수자는 43만 3446명으로 28.7%를 차지했다. 10명 중 3명은 실수요자가 아니었다.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의사진행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연령별로는 30대(24.7%), 40대(24.4%), 50대(19.9%) 순으로 많았고 20대도 12.8%를 차지했다. 각 연령별 주택 구매자 중 임대 목적 비율은 미성년자가 88.5%로 월등히 높았고, 20대도 42.6%나 됐다. 이들은 집값이 폭등하던 2020년 상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급격히 증가했다. 당시 4만 1719명에서 13만 6612명으로 1년 만에 227%가 늘어났다. 이들이 구입한 주택의 평균 가격은 4억 3493만원으로, 가격대별 비중은 3억원 미만(50.2%)이 절반 가량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억~6억원 미만(26.6%), 6억~9억원 미만(12.9%) 순이다. 9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 구매자도 4만 4411명으로 10.3%를 차지했다. 구입한 주택 유형은 시기별로 변화를 보였다. 2020년 상반기에는 서울 아파트가 48%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으나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까지는 경기·인천 아파트, 2021년 하반기 이후 비수도권 지역의 주택에 대한 매수자가 증가했다. 투기 수요가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산되는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부터 비수도권 주택 수요가 늘어나는데, 이는 주택임대사업자에게 비수도권 3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취득세 50% 감면과 종부세 합산배제의 혜택을 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임대 목적 구매자는 자기자본 35.1%, 금융기관 대출이나 기존 세입자의 보증금 등 외부 차입금 등 62.9%로 자금을 조달했다. 아예 외부 차입금이 없는 경우(3만 2672명)를 제외할 경우 외부 차입금 비율은 71.8%로 높아졌다. 구매 자금의 3분의 2 이상을 밖에서 빌린 돈에 의존하고 있었다. 반면 실거주 목적으로 구입한 매수자는 자기자본이 57.9%, 외부차입금은 42.1%였다. 자기자본 비중이 외부 차임금보다 높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임대 목적 구매자는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이 52.5%로 `전세 끼고 집을 사는 방식`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반면 실거주 목적 구매자는 자신이 살던 집을 팔거나 임대 보증금을 돌려받아 마련한 금액(부동산 처분 금액)이 33.5%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주택담보대출이 23%를 차지했다. `전세 끼고 사는 방식` 중에서도 주택 가격 대비 세입자 임대보증금의 비중이 80%를 넘어 `갭투기`로 분류할 수 있는 경우가 12만 1553명, 28%를 차지했다. 주택구매자 중 임대 목적 구매자와 갭투기 수(2020년~2022년 8월 )연령별로 세대 내 갭투기 비중은 미성년자가 47.2%(1142명), 20대가 35.7%(1만 9716명)으로 전 연령 평균(28.0%)에 비해 높았다.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의 대리 투자라는 점에서 예외로 치더라도, 투자를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한 20대 중 3분의 1 이상이 갭투기에 뛰어든 셈이다. 심상정 의원은 “지난 2년 집값 상승기의 30% 가량은 실수요가 아닌 투자 수요였고, 세입자의 임대보증금에 80% 이상을 의존하는 `갭투기` 매수자가 10만 명 이상 주택 시장에 뛰었들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지난 정부가 추진한 등록 임대사업자 제도는 과도한 세제 혜택으로 갭투기를 동반한 투자 수요를 촉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이어 “최근 금리 인하로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접어든 가운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커지는 세입자 보호 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며 “ 임대사업자에 대한 과도한 혜택 및 상생임대 제도와 같이 다주택 임대인의 특혜를 강화하는 정책이 아니라 임대차 보호법과 같이 임차인의 권리를 강화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촉구했다.
- [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강달러에 R공포 확산… 마땅한 대책이 없다
- [이데일리 윤기백 기자] 다음은 29일자 이데일리 신문 주요 뉴스다.△1면-강달러에 R공포 확산… 마땅한 대책이 없다-시장 자율에 맡길 일인데… 혼란만 부추기는 정부-애플 쇼크… 코스피 2200선 붕괴-집주인 체납해도… 경매 넘어간 집, 전세금부터 돌려준다-[사설]입법 폭주도 모자라 의원 알박기라니… 다수당 횡포다-[사설]코로나 대출 또 만기 연장, 부실 언제까지 안고 갈 건가△종합-애플서 온 통신전문가, LG 로봇에 혁신을 심다-“긴축 더 일찍 시작했어야, 연준이 인플레 잘못 판단”-美 집값 10년 만에 처음 떨어졌다△금융시장 대혼란-아이폰 증산 철회 소식에 기술주 ‘우수수’… 신저가 종목 1120개 ‘우르르’-환율 폭등… 국민연금, 해외투자 비중 조절할까-유일호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환율 안전판 역할 할 수 있어”△금융시장 대혼란-기재부 “외환보유액은 쓰라고 있는 것… 외화자산 최후의 보루 있어”-2년 2개월 만에… ‘증안펀드 재가동’ 논의-위기 닥친 금융시장… “정부, 낙관론 펼치다 정책 실기” 비판△납품단가연동제 딜레마-“채찍보다 당근 필요한데”… 여야 ‘기업 강제법’ 강행에 중기부도 난색-“차부품 3만개 적정가격, 어떻게 다 매기나” “가격통제 부작용… 일자리 5만개 날릴 것”△종합-“집주인 동의 없어도 체납세금 열람… 세금보다 보증금 먼저 변제”-“심야 택시난 해소 위해 호출료 인상”-에너지값 상승에… 저소득층 주거비 부담 껑충-“재벌 총수 기준 명확히 하고 규제 범위 좁혀야”△정치-이재명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로 바꾸자”… 개헌특위 구성도 제안-광주 찾은 尹대통령 “AI 경쟁력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국정원 “북 7차 핵실험, 10월 16~11월 7일 사이 가능성”-“해외서 합법·불법 오가는 국정원 요원, 국내선 면책권 부여 등 제도 개선 필요”△경제-드론 막는 투명 그물, 69개 감시 카메라… 24시간 철통보안-2030년까지 전기차 생산 年 330만대로 늘릴 것-집값 가장 많이 떨어진 곳 ‘세종’… 향후 폭락위험 가장 큰 곳 ‘경기’-농협, 청년 일자리 창출 앞장… 하반기에만 1500여명 채용△금융-7% 넘어선 기업대출 금리… 中企 줄도산 우려-삼성생명·화재, 해외투자 확대… 美 블랙스톤과 6.5억달러 계약-신청기간 절반 지난 안심전환대출, 여전히 흥행 부진-수익 안나도… 되레 영업점 늘린 농협은행, 왜△글로벌-러시아, ‘속전속결’ 우크라 영토 병합… 핵전쟁 공포 커진다-러-독 가스관 연속 가스 누출… 서방 “러 고의 파괴 의혹”-시진핑 ‘가택연금설’ 깨고 11일 만에 건재 과시-“英, 70조원 감세 재검토해야”-美 가계, 올해 증시 폭락에 자산 1경3000조원 증발△산업-중국내 판매 부진, 수출로 만회… 내년부터 전기차 생산, 내수도 잡을 것-구광모 “클린 테크 육성·투자… 지속가능 성장”-당겼더니 화면이 쭈~욱… 삼성D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공개-‘자율주행+AI’ 현대차 로보셔틀, 판교 달린다-법원 ‘하도급=불법’ 판결에… 경총 “다양한 생산방식 보장해야”△ICT-“공공 클라우드에 외국기업 진출 길만 열어줬다”-‘누구 스마트홈’서 CU편의점 정보 본다-XR시대 도래, 의심 여지 없어… 기기 시장 급성장할 것-삼성전자, 美 샌프란시스코에 ‘갤럭시 체험관’ 오픈△Auto&Life-활용성 뛰어난 ‘팔방미車’-조용하고 진동 거의 없어 ‘인상적’… 운전자 스트레스 줄여줘 ‘매력적’△증권-혼돈 속 돌아온 어닝시즌, 두려워만은 말라-주가조작범 과징금 부과법 국회서 ‘쿨쿨’-스무살 성년된 ETF시장… 일평균거래대금 세계 3위로-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에 유럽 비중 큰 車부품주 유탄-주가 하락에 반대매매 급증… 미수금대비 비중 금융위기 후 최고△부동산-“금리 무섭다”… 집주인도 세입자도 ‘월세 피난’-반경 2km 내 KTX·지하철역… 아산탕정에 ‘e편한세상’ 뜬다-GTX-B ‘40년 운영권’ 잡아라… 합종연횡 속도-스쿨존 악천후 재현해 자율차 테스트… 미래도시 마중물△리딩컴퍼니-10초 이내 뜨거운 물… 온수 기술로 보일러 패러다임 바꿔-연간 목표액 초과한 이익 환급해 中企와 동반성장-헬스 큐레이터 정기 방문… ‘소비자 중심 경영’ 강화-최초 얼음 정수기서 얼음 나오는 커피머신까지 ‘기술 선도’-자율농기계·농업로봇·스마트팜 앞세운 ‘미래농업 리딩기업’-빅데이터·AI 서비스 고도화… 취업 핵심정보 ‘퓨처랩’ 출시△리딩컴퍼니-2만개 이상 홈인테리어 콘텐츠 보유… 리빙 테크기업 변신-지인몰·지인스퀘어 새단장… 토털 인테리어 시장 공략 속도-500억 투자 ‘세종 칸스톤 제2 생산라인’ 본격 가동-프리미엄 벽면재·펫마루 등 친환경·디자인·기능 다 잡아-양털 촉감 부클레 원단 사용 ‘신혼테리어’ 트렌드 선도-몽골초원을 숲으로… 생활·건강·지구환경 위한 ESG 경영△MICE-박물관·테마파크 품은 ‘안동 컨벤션센터’… 마이스 신중심지 부상-“지역 내 세계유산 활용… 차별화된 ‘콘텐츠·스토리텔링’으로 승부”-ESG 지침 준수 국제회의·행사에 인센티브 준다-국비 지원 ‘마이스 전문가 양성과정’ 모집-K-뷰티 엑스포, 대면 수출상담회 개최-서울·경기·인천 ‘마이스 포럼’ 공동개최-이벤터스, 행사기획자 커뮤니티 개설-고양CVB 내달 7일 지속가능성 캠페인△이데일리 문화대상 최우수상 후보작-[연극]시대 특성에 맞게 지속 발전… 인형극 활용 눈길-[클래식]젊은 연주자들 신선한 기획 돋보였다-[무용]창작에 대한 본질 고민… 새로운 방향성 제시-[국악]동서양의 융합… 세대 통합한 무대 구성에 ‘찬사’-[뮤지컬]탄탄한 스토리는 기본, 작품성·대중성 다 잡아-[콘서트]전세대가 열광… 글로벌 팬심도 사로잡았다△오피니언-[목멱칼럼]유통기한 지난 지식의 노예가 되지 말라-[생생확대경]대전 아울렛 화재, 시작부터 되짚어야-[기자수첩]‘먹거리 물가 잡기’ 민간에 떠넘기는 정부-[e갤러리]이미주 ‘어느 컬렉션’△피플-“앞으로 더 좋은 소설 쓰는 게 노벨문학상보다 중요”-경찰청, 배우 정준호 ‘명예경찰’로 위촉-정만기 무협 부회장 “中 산업구조 변화… 수출 대응책 필요”-삼성전자, 반도체 전직원에 100만원 복지포인트-사명 바꾼 HL그룹, HL만도 수석사장에 조성현-포스코 ‘네쌍둥이 둔 직원’에 육아지원금 전달-축구 손흥민·바둑 신진서·장애인 골프 이승민 ‘대한국민대상’-강일갑 회장, 모교인 한국외대에 학교발전기금 기부△사회-이화영 구속에 탄력 받은 檢… 이재명-쌍방울 연결고리 찾을까-‘핵심 관계자·대화자·작성자 이름’ 싹 지우고 공개된 론스타 판정문-코로나 위험도 ‘낮음’-‘택시기사를 멧돼지로 오인사격’… 70대 엽사에 금고 4년 구형-스토킹범은 왜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을까…-‘코로나 정리해고’ 아시아나 케이오… 2심도 부당해고
- 한은 "집값, 세종·대구·대전 순으로 가장 폭락했다"
-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전국 집값이 6월부터 하락세로 전환한 가운데 가장 집값 폭락에 시달리는 지역은 세종시로 조사됐다. 세종, 대구, 대전 순으로 가장 집값이 많이 떨어졌다. 앞으로 집값 폭락 위험이 큰 곳은 경기, 인천, 대전, 세종 순이었다. 한국은행은 28일 발간한 ‘3분기 지역경제보고서(골든북)’에서 “전국 기준 주택매매가격은 팬데믹 이후 작년말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다가 올 6월부터 하락 전환한 뒤 7~8월에는 하락폭이 확대됐다”며 “최근 주택 가격 하락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등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양상”이라고 밝혔다. (출처: 한국은행)2019년 10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집값 상승기 때 높은 오름세를 보였던 지역과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지역에서 조정기(올해 1~8월) 중 가격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그 결과 고점 대비 가격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은 세종(-7.93%), 대구(-3.37%), 대전(-1.29%) 순이었다. 하락 전환 시점이 빠를수록 월 평균 하락폭도 컸다는 분석이다. 예컨대 전국 집값은 올 6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세종은 1년 전인 작년 5월부터, 대구와 대전은 작년 11월, 12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주택 시장 전반으로 공급이 부진해 집값 상방 요인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집값 자체가 고평가된 데다 대출금리 상승, 가계대출 규제 등 차입 여건이 나빠지면서 주택 시장 하방요인이 더 크다는 평가다. 실제로 9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67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올 들어 집값이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이 전반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지역별 임대료 대비 주택가격(PRR)은 6월 현재 세종, 서울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집값 상승기 직전인 2019년 9월에 비해 PRR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으로 가장 고평가됐다. 차주의 소득 대비 대출잔액 비율(LTI)이 큰 폭으로 상승하거나 그 수준이 높은 지역은 세종, 경기, 대구, 인천으로 꼽혔다. 금리 상승기에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가 원리금 상환 부담을 높일 것으로 보여 이들 지역에선 대출 여력이 제한적이다. 이 역시 주택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됐다. 향후 2년간 아파트 입주물량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최근 3년간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집값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구, 인천, 충남 지역은 과거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주택공급 선행지표인 주택건설 인·허가가 전반적으로 저조하지만 대전은 최근 3년간 인허가 실적이 직전 3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한은이 17개 시도별 데이터를 이용한 HaR(House prices-at-Risk)을 산출해 분석한 결과 향후 1년간 집값 하락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 인천, 대전, 세종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는 집값 하락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 한은 관계자는 “지역별로는 상승기 중 집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던 지역에서 하방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 월 1000만원 이상 초고가 월세 늘어난 이유는[부동산포커스]
-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부동산 거래절벽이 이어지는 가운데에서도 서울 월세 시장에서는 월 1000만원 이상 초고가 월세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은 내려가는 데 월세는 오르는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면서 나타나는 이상 현상이다. 특히 초고가 월세를 주도하는 지역은 서울 강남과 용산, 성수 등으로 이들 지역에서 월 1000만원 이상 초고가 월세가 증가하고 있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방배 신구레베빌14차 244㎡, 월세 1400만원에 거래 28일 부동산업계와 부동산R114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올해 아파트 월세 1000만원 이상 거래는 총 128건으로 나타났다. 월 1000만원 이상 월세는 지난 2020년 처음 등장했다. 2020년 1건에서 지난해 71건으로 급증하더니 올해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주로 강남권이나 한남동, 성수동, 청담동 등 초고가 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 나타났다. 초고가 월세가 증가하는 이유는 결국 집값 급등에 따른 전셋값 급등과 금리 인상으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월세를 더 선호하는 ‘전세의 월세화’ 현상 때문이다. 집값이 급상승하면서 전셋값도 같이 오르자 올려줘야 할 차액을 월세로 전환하려는 사람이 증가한 것이다. 여기에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상승하면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비율인 전·월세전환율이 지난 7월말 기준 4.9%로 전세대출 금리보다 낮아진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기준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이 큰데 월세는 계약기간 동안 고정된다는 점도 초고가 월세를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실제로 금리 인상이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한 이후 보증금을 대폭 낮추고 월세를 올리는 경우도 많았다. 올해 월세 1000만원 이상 거래 가운데 보증금 10억원이 넘는 계약은 전체 128건중 18건에 불과했다. 실제로 서초구 방배 신구레베빌14차 전용면적 244㎡는 보증금 없이 월세 1400만원에 거래됐다. 서초구 반포 엘리제빌 전용 192㎡는 보증금 1300만원, 월세1300만원에 거래됐다. 용산 이촌동 래미안첼리투스 124㎡는 보증금 2억원 월세 1200만원에,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 84㎡는 보증금 3억원 월세 1000만원에 계약이 이뤄졌다.◇가파른 금리 인상·경기침체 우려 덮치며 월세 선호↑대출 이자와 세금 부담 등으로 고정 임대수입을 원하는 집주인과 높은 전셋값·이자 부담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임차인의 수요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여기에 금리 인상이 가파르고 경기 침체 우려까지 이어지면서 무리해서 집을 사기보다는 임차하려는 수요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의 아파트 월세 거래 건수가 증가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지난 2020년 월세 거래는 6만1414건으로 전세 13만5222건 대비 절반에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월세 8만715건, 전세 12만9604건을, 올해는 6만3999건(23일 기준), 전세 9만3315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전·월세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40%를 넘어섰다.전문가들은 기준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세와 월세를 비교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월세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연구원은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면서 집값이 비싼 지역에서 높은 가격으로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집값 하락 전망이 나오자 깡통전세 우려, 높은 전셋값, 대출 이자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월세를 찾는 수요가 많아지다 보니 월세 가격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다만 전셋값이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월세가 지속적으로 오르지는 않으리라 전망했다. 여 연구원은 “수요자가 전·월세전환율에 따라 유리한 선택을 하기 때문에 전셋값이 월세의 상한선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월세도 지속적으로 오르기보다는 어느 시점이 오면 하향 안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진정한 대학살"…美증시 시총, 올들어 1경8550조원 사라졌다
-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올 들어 뉴욕 주식시장에서 러셀(Russell)3000지수에 편입된 거래되는 3000개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무려 13조달러(원화 약 1경8550조원)이나 사라진 것으로 집계됐다. 27일(현지시간) 미국 투자전문매체인 마켓워치는 시장 데이터 리서치어베인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그룹 자료를 인용, 미국 내 3000개 상장사들이 편입돼 있는 러셀3000지수가 올 들어 지금까지 24% 하락해 13조달러의 시가총액이 줄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러셀3000지수가 52주 신고가에 비해서는 그보다 훨씬 큰 41.7%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 중이라고도 했다. 52주 신고가 대비 60% 이상 하락한 종목들도 크게 늘고 있다. 이어 “주가가 이전 고점까지 되돌아 가려면 현 수준에서 71.5%나 반등해야 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비스포크 측은 “이런 상황은 과거 2007~2009년 집값 붕괴에 이어진 글로벌 금융위기나 2000년대 초 닷컴 버블 붕괴 이후에는 한 번도 보지 못했던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진정한 대학살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주가 52주 신고가에 비해 가장 큰 51.8%나 하락했고, 내구재주가 49.8%, 테크주가 49.4%, 헬스케어주가 48.4% 각각 하락해 러셀3000지수보다 낙폭이 더 컸다. 그나마 17% 정도 하락한 유틸리티주나 30% 이상 하락한 금융주가 가장 선방했다.종목별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 플랫폼스, 아마존, 애플이 5000억달러 이상 시가총액이 줄었다. 그 뒤를 테슬라와 JP모건, 홈디포 등이 1000억달러 이상 시총이 줄어든 기업이었다.
- [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달러 빼고 다 판다...R 넘어 ‘C 공포’ 성큼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다음은 28일자 이데일리 신문 주요 뉴스다. △1면-달러 빼고 다 판다...R 넘어 ‘C 공포’ 성큼-글로벌 콘텐츠 비즈니스 IP확보부터 시작해야-코로나 대출 만기 다섯번째 연장...커지는 부실 위험-미 부통령 “인플레감축법 해법 찾겠다”-[사설]‘혈세 먹는 하마’ 된 공공기관, 개혁 약속 물 건너가나-[사설]정상화 가닥 잡은 대우조선, K조선 도약의 발판 돼야△종합-현실판 아마겟돈...소행성에 우주선 명중-금융위기 극복한 ‘환율 용사’ 찾아 ‘폭주하는 强달러’ 대응방안 논의△강달러에 세계 금융시장 휘청-각국 통화·주식·채권·부동산…달러화 빼곤 모두 고꾸라졌다-“과한 긴축에 강달러 심화”…힘받는 미 연준 실기론-장중 2197.9 찍은 코스피…“당분간 위험자산 투자 경계”△종합-만기연장 최장 3년으로 늘려…141조 폭탄 떠안은 은행들-민주 ‘박진 해임건의안’ 발의 국힘 “정언유착 가짜 뉴스”-지난해 사망 31만8000명 역대 최대…코로나 희생자는 5030명-“납품단가연동제 민간 도입, 중기에 되레 피해”△OTT 전성시대 IP 활용 전략-“넷플릭스 유통이 정답은 아냐”…제작사 ‘황금알 IP’ 직접 챙긴다-수리남 전 회차가 593원…불법 유통 판치는 중국△정치-민생 어디로…취임 한 달 이재면, ‘사법 리스크’에 발 묶였다-“한동훈·이상민 장관 탄핵포인트 쌓아가고 있어”-인구문제 꺼낸 윤 “저추란고령위 전면개편”-與 태영호 “탈북 어민 북송 당시 신원미상 인력 투입” 주장-[현장에서]이례적으로 북 SLMB 정보 공개한 대통령실△경제-탄소배출 줄이는 혼소발전 연구…화력발전, 수명 연장 꿈꾼다-원자재 수급 힘든 기업들에 무보, 지원 자금·품목 확대-안심대출 시행에…가뜩이나 낮은 채권값 더 떨어질라-통화 긴축, 국제유가 하락에 물가 진정 기대감 커졌다△금융-카드사 6곳 연합 ‘오픈페이’ 이르면 내달 출격-대줄금리 줄줄이 낮추는 은행들-새출발기금에 은행 예금 금리 인상 ‘겹악재’에 시름 깊어지는 저축은행-SC제일은행 “첫 거래고객, 일복리저축예금 2.4% 특별금리”△글로벌-“中, 1조달러 투자한 ‘일대일로’ 손본다”-푸틴, 30일 점령지 편입‘ 공표 가능성-中, 친환경차 취득세 면제 1년 연장 ‘소비촉진’-“바이든 학자금 대출 탕감, 570조원 들어”-미정부 내부고발자 스노든에 러 시민권△재도약 나선 ‘서울디지털산업단지’-첨단산업 인력 모으고 입주기업 경쟁력 높여…지속가능한 성장 돕는다-“G밸리 경쟁 상대는 지방 산단 아닌 글로벌 도시”-청소년·직장인들 상담 받으로 ‘G밸리 창업복지센터’ 가요△산업-“전기차·수소차 전환 늦으면 손해”…글로벌 상용차 ‘친환경 동맹’ 가속-“스테인리스 수출 물량, 내수로 돌린다”-대우조선 빅딜…한화 ‘김동관 부회장 체제’ 첫 시험대△ICT-韓 이어…美·유럽 “빅테크에 망 비용 부과해야”-5호기 성능 20배 국가 슈퍼컴 도입 스타트-K웹툰 모든 문제는 플랫폼 때문?…도넘은 몰아가기-코인 해킹 ‘렐릭’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소비자생활-배춧값 치솟자…김치·유통업계 ‘배추 확보 전쟁’-롯데마트, 토종 종자 농산물 ‘쑥쑥’-“흑자보다 고객경험 우선…매각설 사실무근”△증권-환율과 크로스할라…공포의 코스피-삼전 속절없는 추락…물타기 지친 개미들-믿을 건 배당뿐…배당률 10%대 종목 있다△증권-위기는 기회…장부가 밑도는 알짜 종목 ‘수두룩’-글로벌 ‘펫케어 플랫폼’ 도전장-증시 출렁여도 월급처럼 따박따박 ‘월배당 ETF’-금감원, 최근 5년간 증권신고서 180건 정정요구△부동산-하이엔드 브랜드 효과 톡톡…삼성·GS 움직일까-전문건설공제조합 이사장에 이은재 전 국회의원 유력-3년전 분양가로 줍줍…송파서 5억 로또청약-삼성물산, 포스코건설·포스코A&C와 모듈러 사업 맞손△엔터테인먼트-1+1로 돌아온 ‘진실의 입’ 더 큰 웃음 빵 터질까-속 시원한 솔루션 척척…예능판 주름잡은 전문가들△건강운동·수면중 아닌데 심장 불규칙하게 뛴다면…부정맥 의심하세요-3D 맞춤형 인공관절수술 높은 정확도로 합병증 뚝-땀 비오듯 다한증 속발성·원발성 따라 치료도 제각각△Book-90년생 용접공, 짠내나는 공장의 삶을 말하다-소유권을 쥔 자가 삶을 지배한다-팬데믹이 부추긴 혐오, 연대·사랑으로 극복을△오피니언-휴전선 지키는 십만 장병,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모든 국민은 재난 앞에 평등하다-대우조선에 베팅한 한화의 빅 픽처△피플-“고도화하는 사이버범죄, 새 수사기법 연구·개발 절실”-최태원 SK 회장 “탄소중립은 새 사업 기회”-중앙대, 전기장 활용 치료법 개발-9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최우수상 후보작 추려졌다-“라이브 커머스만으론 한계, 비디오 커머스로 확대할 것”△사회-위장전입·억대 연금 논란 조규홍, 청문회 문턱 넘나-종이·옷더미에 쓰레기 집하장까지 지하 집결…아울렛 참사 키웠다-윤사단 브레인과 막내 만났다-“검수완박은 위험” 한동훈 직접 변론…헌재 결정은-국정농단 핵심증거 ‘태블릿PC’ 반환소송 최서원 1심 승소-검, 테라·루나 권도형 가상자산 388억 동결△2022 친환경 건설산업대상-사람과 자연을 잇는 기술로 공간의 감동을 선사한다△2022 친환경 건설산업대상-학군·인프라·교통 두루 갖춘 명품 주거단지…천안 랜드마크로 ‘주목’-동탄 신도시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교통허브 개발로 지역 미래가치 향상-수변공원 등 풍부한 생활인프라 구축 자연 속 쾌적한 여가활동 높은 평가△2022 친환경 건설산업대상-환경친화적 입지 자랑 ‘순천 오천지구’에 차별화한 혁신구조 선보여-중소평형 특화설계 ‘은평자이 더 스타’ 인프라 완비에 서북권 ‘랜드마크’ 부상-“3년 뒤면 도심서 ‘드론 택시’ 탑승” UAM으로 하늘길 상용화 당긴다△2022 친환경 건설산업대상-친환경 소각로 운전 최적화 솔루션에 AI기술 적용해 산업 고도화 성과 일궈-옥수수로 만든 친환경 소재로 생활 소음 줄여주고 충격 흡수-LED 조명·EO등급 가구로 친환경과 쾌적함 동시에 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