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4,467건
- 엉덩이 겨우 가리는 초미니스커트…거리를 점령하다
- [조선일보 제공] 20일 친구들 만나러 신촌의 한 여대 앞에 다녀온 이승연(24·유학준비생)씨는 집에 오자마자 수선집으로 달려갔다. 재작년에 산 미니스커트 밑단을 5㎝쯤 줄이기 위해서였다. “카페 창가에 앉아 있는데 엉덩이만 겨우 가리는 초미니 스커트가 5분마다 눈앞에 지나가는 거예요. 무릎 바로 위까지 오는 제 스커트는 너무 답답해 보이더라고요.” 2006년 봄, 보기에도 아찔한 스커트가 거리를 점령했다. 그냥 ‘미니’가 아니다. 전체 길이 25㎝ 안팎의 ‘초미니’다. 10년 전 미니스커트에 비해 10㎝는 짧아진 이런 초미니는 요즘 인터넷 쇼핑몰 ‘G마켓’이나 경매사이트 ‘옥션’에서 하루 평균 2500~3000벌씩 팔려 나간다. 전체 여성의류의 30%에 해당하는 수치다. 현대백화점에서 10년 넘게 여성패션을 담당해 온 김석주 바이어는 “미니스커트가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올해 ‘더 이상 짧아질 수 없는 지점’에 도달한 것 같다”며 “몇 년 전만 해도 초미니가 ‘다리 미인’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누구나 입는 대중적인 아이템이 됐다”고 말했다. 초미니 열풍을 주도하는 것은 스무살 안팎의 젊은 여성들. 옥션 CM실 의류담당 박정원 차장은 “초미니 구매자의 70%가 10대 후반~20대 초반”이라며 “올 봄에는 레이스나 주름을 넣어 귀여운 느낌을 주는 ‘스쿨룩’ 스타일이 특히 인기”라고 말했다. 초미니와 함께 입는 니삭스(무릎까지 오는 긴 양말), 레깅스(스커트 밑에 입는 쫄바지), 망사 스타킹, 힙워머(보온용 속바지) 등도 덩달아 호황을 누리고 있다. 스테퍼(계단 밟기식 운동기구), 다리 마사지기, 슬림패치(허벅지에 붙여 지방을 연소시키는 제품), 제모(除毛)용품, 보디펄(몸을 반짝이게 하는 화장품) 등 하체관리용품도 초미니 열풍에 힘입어 작년의 2~3배로 매출이 뛰었다. 왜 초미니일까. ‘불황일수록 미니스커트가 유행한다’ ‘겨울이 추울수록 이듬해 봄 스커트가 짧아진다’ ‘스커트가 짧아지면 주가가 오른다’ 등 미니스커트를 둘러싼 사회·경제학적 분석은 다양하다. 그러나 21일 서울 역삼동에서 만난 초미니족 공민경(26)씨는 그저 “자기만족”이라고 했다. “한번 입어보고 싶었어요. 요즘은 몸매가 빼어나지 않아도 부담 없이 입는 분위기라서 한 벌 장만했는데 섹시해진 것 같아서 왠지 신나요.” 친구들 사이에서 ‘초미니 마니아’로 통하는 대학생 박신혜(23)씨는 “초미니에 망사 스타킹 신고 7㎝ 하이힐 신으면 다리가 실제보다 10㎝ 이상 길고 날씬해 보이는 ‘착시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경인교육대학교 이윤정 교수는 “종합주가지수와 빈곤층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제상황인 만큼, 호·불황 여부보다는 차라리 연예인들 영향이 더 크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동대문 일대와 인터넷 쇼핑몰에 초미니와 핫팬츠가 깔린 시기는 이효리, 고소영, 김태희 등이 유사한 의상을 선보인 시기와 맞물린다. “초미니족 때문에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눈을 어디에 둬야 할지 모르겠다”며 불편을 호소하는 남성들도 적지 않다. 얼마 전 대구 모 대학 게시판엔 도서관에 앉아 있는 여학생의 스커트 속을 도촬(盜撮·도둑촬영)한 사진이 올라와 여학생회가 들고 일어나는 소동도 있었다. 서울 지하철경찰대의 이봉석 경장은 “명동역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휴대전화로 스커트 속만 찍는 상습범도 있다”며 “공공장소에선 스스로 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05증시결산)④연예인 `귀하신 몸`
- [이데일리 김세형기자] 2005년 주식시장에서 가장 화려했던 테마를 꼽으라면 단연 바이오와 엔터테인먼트다. 특히 엔터테인먼트는 한류 및 인수합병(M&A)과 연결되며 가장 높은 주가 수익률을 올린 데다 익숙한 연예인들이 전면에 나타나면서 화제를 낳았다. 바이오 테마가 황우석 교수 파문으로 우울할 연말을 보내는 것처럼 엔터테인먼트도 연말이 순탄치는 못했다. 팬텀을 비롯해 여러 기업에서 주가 조작 혐의가 포착됐고 검찰 고발로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열기는 여전히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일부 종목 관련자들이 주가 조작혐의로 검찰에 고발되는 상황에서도 끊임없이 우회등록하는 업체가 나오고 있다. 외국인의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관심도 쉬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 테마주 가운데 왕중왕 엔터테인먼트는 올해 수익률면에서 단연 최고의 테마였다. 최근 증권선물거래소의 집계결과 지난해말부터 지난 19일까지 테마관련주들은 평균 212%의 상승세를 타며 주식시장 상승를 주도했다. 이들은 주식시장 전체보다 142.2% 상승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는 올들어 355.9% 상승하면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엔터테인먼트 테마는 지난 3분기에만 -3.3%의 약세를 보였을 뿐 1분기 79.8%, 2분기 87.7%, 그리고 4분기 상승률 96.9%라는 괴력을 과시했다. 종목중에서는 연초 1000원이 안되던 팬텀이 한 때 4만원을 넘어서며 시장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하반기 들어서는 장동건 소속사와 주식교환을 결의한 반포텍이 12일 상한가를 기록하면서 엔터테인먼트 테마의 선두에 섰다. 반면 바이오는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올해 코스닥의 양대 테마를 형성했지만 실익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올들어 12월19일까지 바이오 테마의 상승률은 103.7% 오르는 데 그쳐 전체 테마 상승률의 절반에 그쳤다. ◇ 우회상장 `불야성`음악, 영화, 드라마, 연예 매니지먼트 등 엔터테인먼트라는 엔터테인먼트는 모두 기대를 한껏 받았다. 이처럼 테마로 부상한 데는 한류와 이동통신업계의 컨텐츠 확보 경쟁,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자체의 산업화 진전 등이 작용했다. 한류가 바닥을 기던 엔터테인먼트업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이동통신업계는 엔터테인먼트 업체의 몸값을 한껏 높여 주었다. 또 엔터테인먼트 업체 자체적으로 대형화 바람이 불면서 활발해진 업체간 인수합병은 또다른 기대를 낳았다. 예당과 에스엠엔터테인먼트가 한류의 대표적인 수혜주로서 엔터테인먼트 테마의 기반을 닦았고 SK텔레콤이 IHQ와 서울음반, 그리고 KT그룹이 싸이더스FNH에 출자하면서 엔터테인먼트가 본격 인수합병 국면에 접어 들었다. 3개 회사가 합쳐진 팬텀은 산업화와 엔터테인먼트 자체적인 M&A의 신호탄으로 작용했고 여리인터내셔날, 케이앤컴퍼니, 튜브미디어, 호스텍글로벌 등의 후속타가 연달아 터졌다. 특히 팬텀은 `멀티 M&A`라는 엔터테인먼트 우회상장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연예 매니지먼트 2개 회사와 영화 투자배급회사 1개가 합쳐지고 있는 엠에이티가 팬텀 이후 `멀티 M&A`를 추진하는 대표 종목이다. 엠에이티와 지분관계로 엮어진 헤드라인정보통신도 개그맨 매니지먼트와 합병을 추진하는 등 갈수록 멀티 M&A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또다른 국면은 특급 연예인을 보유하고 있는 기획사의 코스닥 우회상장이다. 장동건이 소속된 스타엠엔터테인먼트가 대표적. 송윤아 소속사인 정호코리아, 이효리 소속사인 디에스피엔터테인먼트 등도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장외에 있는 엔터테인먼트 간판을 달고 있는 모든 업체가 잠재적 코스닥 우회상장 회사로 분류되고 있다. 일부 업체는 코스닥 우회상장을 추진할 의사가 없음에도 우회상장을 추진한다는 루머가 돌아 해당 회사 관계자들이 해명에 진땀을 흘리고 있을 정도다. ◇ 끊임없는 주가조작 시비..수익성 확보 시급하지만 엔터테인먼트 역시 하반기 들어 주가조작설에 휘말리며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고 있다. 또 올해는 기대만으로도 먹혀 들었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만큼 내년에는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익성을 서둘러 확보해야 하는 것도 과제로 남아 있다. 지난 11월말 증권선물거래위원회는 엔터테인먼트 대장주인 팬텀의 대표이사와 대주주 등 회사 경영진 3명을 시세 조종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는 결정을 내렸다. 너무 짧은 시간에 가파르게 상승, 의혹의 눈길은 많았지만 증선위가 구체적 혐의를 잡고 나선 것이다. 팬텀에 이어 스펙트럼DVD의 경영진도 경영권 변동 과정에서 주가 조작을 했다는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특히 스펙트럼의 경우 유명 연예인을 앞세워 시세 조종에 나선 혐의를 받고 있어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올랐다.해당 당사자들은 주가 조작 혐의를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고 또 상당한 지분을 보유한 외국인이 급작스레 주식을 파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여전히 테마가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지만 엔터테인먼트 관련 업체중 상당수는 짧은 시간에 갑자기 올랐다는 점에서 감독당국의 눈치를 봐야하는 부담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상당수 업체에서 소속 연예인들을 증자에 참여시키는 형태로,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았던 관심을 받아 제 2의 스펙트럼의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의혹의 눈초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수익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시간이 흐를만큼 흘렀다는 점에서 이제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줘야할 상황이다. 연예인의 인기와 소속사의 주가를 등치시키는 것은 금물이다. 예를들어 반포텍이 주식교환을 결의한 장동건의 소속사인 스타엠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장동건이 일반에 알려진 만큼 소속사도 돈을 잘 벌 것이라는 기대는 지나친 비약이라는 지적이다. 스타엠엔터의 경우 올해 83억1000만원의 매출을 올리지만 영업손익은 1억8800만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데, 그럼에도 내년에는 481억9400만원 매출에 65억2200만원의 경상이익이라는 장밋빗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로 시현되지 않을 경우 업체 전반에 대한 신뢰성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연예인을 보는 것과 연예인이 소속된 회사를 보는 것은 결코 같지 않다"며 "연예인의 인기에 현혹돼 무턱대고 장밋빛으로 봐서는 뒷감당하기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