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783건
- "LTE에 울고 웃고"..LGU+, 영업익 반토막
- [이데일리 김정민, 정병묵 기자] 작년 LG유플러스의 영업이익이 반토막 났다. 정부의 통신료 인하 압력에 롱텀에볼루션(LTE) 신규투자가 겹친 때문이다. 그러나 LG유플러스(032640)는 이같은 실적 악화에도 불구, 올해 LTE 설비투자에만 9500여억원을 더 쏟아붓기로 하는 등 ‘LTE 올인’ 전략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30일 지난해 국제회계기준(IFRS) 285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0년의 6553억원 대비 56.4% 감소한 규모다. 매출액은 8.9% 증가한 9조2524억원을 기록했다. 판매가격이 높은 LTE폰 판매와 신규가입자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기순이익은 전년(5700억원)에 비해 85.1%가 줄어든 847억원을 기록했다. 오성권 교보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LTE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사업자간 가입자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무선통신시장 전체의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다”며 “LG유플러스는 상여금 지급으로 인건비 지출이 늘면서 수익성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익성 높은 LTE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올해 실적 전망은 긍정적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LTE 가입자는 지난해 말 기준 55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약 6% 비중을 차지한데 이어 올해에는 하루 평균 1만명 이상이 새로 가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LG유플러스의 지난해 무선 ARPU(가입자당 매출)는 1분기 2만9595원, 2분기 3만195원, 3분기 3만431원, 4분기 3만841원 등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지난해 누적가입자 939만명 중에서 83만명의 스마트폰 가입자를 새로 유치해 총 384만명의 스마트폰 가입자를 확보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 비중도 3분기 32%에서 4분기 41%로 높아지는 등 수익성 높은 스마트폰 가입자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LTE 신규 네트워크 구축, 전송 커버리지 확대 및 용량 증설을 위해 올해 9556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김미송 현대증권 연구원은 “LG유플러스의 실적 개선은 이통 3사중 가장 큰 폭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무선통신분야에서 인당 매출액이 가장 낮고 가입자 규모가 적은데 따른 기저효과로 LTE 비중이 늘어나면 실적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LG U+, 작년 마케팅비 1조5136억원..전년比 10.5%↓☞LG U+, 4Q 마케팅비 4075억원..전년比 9.3%↓☞LG U+, 작년 당기순익 846억원..전년比 85.15%↓
- SKT, 전국 지하철 LTE 속도 "2배 빠르게"
-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SK텔레콤이 전국 지하철 모든 노선에서 롱텀에볼루션(LTE) 속도를 지금보다 2배 빠르게 향상한다. SK텔레콤(017670)은 전국 지하철 역사와 터널 구간에 기존 구형 `광중계기(한 개 안테나 적용)` 대신 최신 다중 안테나 기술이 적용된 `소형 안테나 기지국(RRU)` 장비 700여 대와 `디지털 기지국(DU)` 150여 개를 추가 설치한다고 26일 밝혔다. 다중 안테나 기술은 기지국의 두 개 안테나와 단말 내 두 개 안테나를 사용해 각각의 안테나가 서로 다른 내용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면 2배의 속도를 낼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용객이 많은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시작으로 현재 역삼, 교대, 신도림, 상왕십리, 문래 등 5개 역의 속도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 오는 2월까지 지하철 2호선 전 구간의 작업을 마칠 계획이다. 또한 2월부터 순차적으로 수도권 전 노선을 비롯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광역시 지하철에도 새로운 기지국 장비를 도입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0월부터 서울 1~9호선과 공항철도 등 수도권 13개 노선 전 구간에서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월1일부터는 28개시 전국망 확대에 따라 해당 광역시의 지하철에서도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 권혁상 네트워크 부문장은 "고객들이 출퇴근 시간 지하철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해 서울과 수도권 및 전국 지하철 전역에서 LTE 속도를 2배로 업그레이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SK텔레콤 고객에게 차별적인 LTE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4G 시대를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SKT, 실적부진 우려 `이미 주가에 반영`-한화☞"휴대폰 믿고 사세요"..SKT, 안심 대리점 도입☞김황식 총리 "스마트 선진국, 방송통신인이 이끌어야"
- CES 2012로 본 차세대 TV시장 5대 핫 이슈는?
- [이데일리 류준영 기자]지난 13일 폐막한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2`는 세계이동통신산업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와 같은 전문전시회 위상과 역할이 커진 까닭에 `스마트TV`와 같은 대형가전 중심으로 큰 이슈가 나왔다. 전세계 언론이 차세대TV 경쟁에서 한국전자업체들의 한발 앞선 기술력에 후환 점수를 주었지만, `앞으로 10년 이내 100주년을 맞는 일본전자업체들을 저력을 얕봐선 안된다`며 자만심을 경계한 지적도 잇따른다. 보수적인 TV가전시장에서 주요 TV브랜드업체가 아닌 레노버와 같은 전통 PC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제조·유통의 변화도 눈 여겨 볼만한 대목이었다. 이데일리 IT전문프로그램인 디지털쇼룸(showroom.edaily.co.kr)에선 IT전문가인 이현준씨와 함께 `CES 2012`를 통해 앞으로 달라질 TV시장을 대화체 형식으로 예측·분석해 봤다. ▲ `CES 2012`에서 각축을 벌인 글로벌기업들의 차세대 TV (시계방향)레노버TV, LG 대화면 OLED TV, 샤프의 8K TV, 소니의 크리스탈 LED 디스플레이 발표회, 삼성의 대화면 OLED TV100주년 맞는 일본 전자업체, 아직 긴장 풀긴 일러 류준영 국내기업들의 선전 속에 샤프 행보가 특히 눈에 띄었다. `CES 2012` 발표회장에서 80인치 `아크어스(AQOUS)` 슬림형TV를 모델들이 들고 나오는 패션쇼 같은 발표회 연출은 인상적이었다. 이현준 삼성전자와 소니가 각각 50%씩 투자해 만든 합작법인 S-LCD의 결별과 소니가 OLED TV를 가정용으로는 선보이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일본TV의 몰락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였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전자업체인 샤프가 두각을 나타냈다. 샤프는 이번 전시회에서 85인치 8K TV를 내놨다. 실제로 샤프는 작년에 60인치 이상 LCD TV에 주력하겠다고 공언한 후 매출이 65% 이상 향상됐다. 일본 경기침체 속에 유일하게 성장한 브랜드이자 올해 창립 100주년을 맞은 역사를 가진 브랜드이다. 공교롭게도 앞으로 10년 이내 일본 내 대다수의 전자업체들이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다. 대부분 전쟁 때 군수사업으로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샤프는 디스플레이시장에 주력하고 있는데다 소니가 삼성과는 결별했지만 샤프와 제휴는 계속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샤프와 소니의 동맹이 디스플레이시장 한 축을 맡아 그 세력을 더욱 키워갈 것으로 보인다. "UDTV, 3DTV 전철 밟을 수도…" 류준영 높은 해상도를 바탕으로 미세한 부분까지 표현할 수 있는 70인치 UD(Ultra Definition) TV가 참관객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이현준 UDTV는 4KTV를 말한다. 4KTV는 지금 해상도의 4배인 TV를 말하는 것인데 문제는 4K 촬영소스가 너무 없다. HD방송도 90년대 중반부터 콘텐츠를 만들기 시작해 이제서야 볼만한 콘텐츠가 있다고 할 정도이다. 4K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제대로 즐길만한 4K용 콘텐츠가 당장은 없다. 요즘 시장에서 3차원(D) TV가 서서히 안 팔리기 시작했다. 볼만한 게 없어서다. 스마트TV도 소비자들이 `스마트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면 (제조사입장에서)남은 키는 4K뿐인 데, 관련 콘텐츠들이 얼마나 보급될 것인가가 문제이다. 방송사들도 4K시장을 준비하고 있고, JVC, 소니와 같은 회사도 4K 프로젝터나 카메라를 내놓고 있다. 그래서 올해 화두는 3D 스마트TV를 넘어 4K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삼성·LG전자 대화면 OLED TV `그림의 떡` 류준영 소니의 10인치 OLED TV 소개한 지 2~3년 만에 삼성과 LG전자가 그보다 훨씬 더 큰 대형 OLED TV를 들고나왔다. 이현준 OLED TV 기술이 나온 지 30년이 넘었고, 상용화하는 데 너무 어려운 제품이다. 실제로 투입량 대비 완성품 비율이 낮고,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가격이 너무 비싸다. 저는 제조사들이 그 이야기를 해줬으면 좋겠다. 정말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올해 내 발매가 가능한지, 그렇다면 가격은 얼마로 책정될지 등이다. 만일 제품이 나왔는데 55인치 OLED TV가 1억 원이다라고 한다면 의미가 없지 않겠나. 파나소닉의 같은 경우에도 이전에 150인치 PDP TV를 선보였는데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않았다. 여전히 103인치 제품을 팔고 있다. 소니가 OLED TV를 철수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OLED TV를 가장 열심히 만드는 업체는 여전히 소니이다. 소니는 방송용 모니터 20인치 23인치 모델을 3천 만원 판매가임에도 불구하고 생산하고 있다. 방송현장에선 정확한 색상 표현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가정용으로는 만들어 팔면 판매도 안될뿐 더러 수익도 맞추지 못한다. 그래서 크리스탈 LED 디스플레이를 선택한 것은 실용노선을 택한 게 아닌가 생각된다. 소니의 경우는 LED TV에서 최고의 기술로 최고의 가격으로 팔겠다는 내용을 발표하지 않았나. 그렇게 삼성과 LG전자를 따돌리겠다는 복안을 가진 게 아닌가 생각된다. CES는 각자 기술력을 뽐내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런 제품이 나오곤 하는데 이 제품들이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으로 선보일 수 있는 제품이냐는 측면에서 거리가 멀다. “TV시장 진입 장벽 허물어졌다” 류준영 제조사들이 지난해 안드로이드폰 경쟁을 벌였다면, 이젠 본격적으로 구글TV 전장으로 무대가 옮겨가고 있는 듯하다. 이현준 레노버가 TV를 내놨다. TV는 가전부문 매출 1위 시장이고, 아무 메이커나 들어갈 수 없는 영역으로 통한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최근 TV시장 진입이 조금 쉬워졌다. 예전엔 판매루트도 없었고, 대형패널을 수급할 수 있는 여력도 없었는 데, 이번엔 구글에서 플랫폼을 제공해준다. 그러니까 제조업체는 디스플레이패널만 가질 수 있다면 이미 확보된 PC유통망을 가지고 판매를 할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애플TV 성공가능성이 점쳐지는 것이다. "스마트TV 업그레이드 정책 바꿔야” 류준영 이번 스마트TV에서 강력하게 추천할만한 기능은 `에볼루션 키트(Evolution Kit)`일 것이다. TV 핵심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의 모든 기능을 최신으로 진화시키는 업그레이드 개념을 처음 집어넣었다. 이현준 TV는 한 번 구매하면 7년 이상은 쓴다. PC와 흡사한 스마트TV의 업그레이드는 이보다 훨씬 더 빠른 사이클로 돌아갈 것이다. 스마트TV는 6개월만 지나도 구형이다. 그렇다면 스마트TV를 비싼 TV에 내장할 것이 아니라 별도의 단품으로 판매하면 좋겠다. 예컨대 소니는 구글TV 플랫폼을 블루레이플레이어에 포함시켜 내놨다. 스마트TV가 아니더라도 소니의 블루레이플레이어를 통해 스마트TV 기능을 즐길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지향할 방향인 것이다. 셋톱박스를 구매하면 스마트TV가 이전 모델이라 할지라도 최신의 스마트TV를 걱정 없이 쓸 수 있도록 한 정책이 요구된다. [CES 총정리-①]100주년 맞는 日전자, 삼성·LG 긴장 풀긴 일러 ▶ Digital쇼룸 관련 동영상 보기 ◀☞[CES 총정리-②]삼성·LG 스마트TV 조목조목 꼬집기☞[CES 총정리-③]모바일PC 패권다툼 "묘하게 돌아간다"☞[CES 총정리-④]림-노키아-MS 패자부활전 "반전은 없었다" ※IT전문프로그램인 `디지틸쇼룸`은 이데일리TV에서 매주 월요일 1시(본방)와 매일 12시 15분(재방)에 방영됩니다. 각 지역케이블TV(Skylife 525번), 스마트폰 태블릿 애플리케이션, 이데일리TV 홈페이지(www.edailytv.co.rk)를 통해 실시간 또는 다시 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