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813건
- 버핏, '버크셔 헤서웨이' 브랜드로 육성..잇따라 개명작업 나서
-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49년된 회사 상호를 세계적 브랜드로 만들겠다’‘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84) 버크셔 헤서웨이 회장이 지난 1965년 설립한 투자회사 ‘버크셔해서웨이’를 브랜드로 육성한다. 금융시장에서 널리 존경받는 투자회사 이름을 그대로 ‘브랜드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10년 사이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버크셔가 최근 잇따라 ‘버크셔’ 이름 붙이기에 나섰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버핏은 이달 초 인수한 미국 5위 자동차 판매회사 ‘밴튤(Van Tuyl)’ 브랜드를 ‘버크셔 해서웨이 오토모티브’로 바꿨다.버핏은 또 부동산 회사 ‘홈 서비스 오브 아메리카’ 사명도 ‘버크셔 해서웨이 홈 서비스’로 변경했다. 버핏은 부동산 사업에 브랜드를 적용해 내년 1분기까지 미 전역에 새 브랜드 부동산 매장을 1400개로 늘리고 유럽과 아시아 지역까지 사업 영역을 넓힐 방침이다. 그는 올해 초 미드아메리칸에너지, 퍼시피코프를 포함한 유틸리티사업 명칭을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로 바꾼 바 있다. 마케팅시장이나 회사 안팎에서는 버크셔가 값비싼 자산으로 정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버핏이 금융시장에서 쌓은 명성이 있기 때문이다. 컨설팅업체 밀워드 브라운 베르메르 소속 파트너 오스카 위안은 “영국 버진그룹이 리처드 브랜슨의 저항 이미지에 바탕을 두고, 애플이 스티브 잡스의 천재성을 반영하는 것처럼 버크셔 해서웨이는 신뢰, 안정, 정직이라는 브랜드 가치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얼 리 HSF어필라이츠 최고경영자(CEO)는 버크셔 해서웨이 홈 서비스 명칭을 단 미국 내 부동산 중개업체 수는 내년이면 1400개에 달할 것이라며 앞으로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중동, 아시아 등 세계 전역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SF어필라이츠는 버크셔와 브룩필드 에셋매니지먼트의 프랜차이즈 합작 기업이다. 1965년 섬유업체로 출범한 버크셔 해서웨이는 IBM과 코카콜라를 비롯해 월마트,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질레트, 테스코 등도 지분 투자를 하고 있다.
- 빌 게이츠 부부, 2년 연속 美기부왕
- [이데일리 이민정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인 빌 게이츠와 부인 멀린다 게이츠 부부가 지난 2012년에 이어 작년에도 미국에서 가장 기부금을 많이 낸 ‘기부왕’으로 기록됐다.5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빌 게이츠 부부는 지난해 총 26억5000만 달러(약 2조8368억원)를 기부해 ‘미국 고액 기부자’ 1위에 올랐다. 지난 2012년보다 작년에 기부금이 7억5000만달러 더 늘었다.빌 게이츠, 멀린다 게이츠 부부. 사진=데일리메일타임포브스는 이들 부부가 해외에서는 소아마비, 말라리아 등의 질병 예방 및 퇴치에, 미국내에서는 교육환경 개선 등을 위해 특히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게이츠 부부가 자신들이 운영하는 ‘빌 앤 멀린다 파운데이션’ 등을 통해 낸 돈은 302억달러(약 32조3291억원), 그들 재산의 약 37%에 이른다.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26억3000만달러를 기부하면서 2012년에 이어 고액 기부자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까지 버핏 회장의 기부 총액은 199억 달러다.고액 기부자 3위는 화장품업체 에스티 로더의 레너드 로더 회장이다. 미술품 수집가로 이름난 그는 작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11억달러어치의 미술품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주커버그(9억9100만 달러)는 4위, 펀드 매니저 조지 소로스(7억3400만 달러)는 고액 기부자 5위에 랭크됐다.이밖에 블룸버그 통신 설립자인 마이클 블룸버그(4억5200만 달러), 유통업체 월마트를 소유한 월턴 패밀리(3억2500만 달러), 반도체기업 인텔을 설립한 고든 무어 부부(3억2100만 달러), 면세점 DFS 공동 창업자인 척 피니(2억9700만 달러), 이베이 창업자인 피에르 오미디야르 부부(2억9400만 달러) 등이 고액 기부자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 국제금융시장도 `중국風`..핵심파워 50명중 5명 휩쓸어
-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중국 금융자본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중국 금융을 움직이는 주요 인사들이 전세계 금융시장에서도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발간된 블룸버그통신의 금융 월간지인 블룸버그마켓츠 10월호가 선정한 전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 50인 가운데 중국 인사들이 무려 5명이나 선정됐다. 정책 당국과 자산운용사, 증권사, 기업인, 펀드 매니저, 학자 및 이코노미스트 등 총 5개 분야에서 선정된 총 50명의 국제적으로 영향력있는 인물 가운데 중국에서는 궈광창(郭廣昌) 푸싱그룹 회장과 마윈(잭마) 알리바바그룹 홀딩스 창업주 겸 회장, 장지엔칭 중국 공상은행(ICBC), 샤오강 중국 증권감독위원회(CSRC) 위원장, 저후 샤오촨 중국 인민은행장 등 5명이 포함됐다. `중국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궈광창 회장은 포브스지에서 선정한 중국 3위의 부자로, 40억달러 정도의 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푸단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궈 회장은 최근 미국 뉴욕 유명 빌딩 `원체이스 맨해튼플라자`를 매입하고 포르투갈 국영은행 카이샤 제랄 데 데포시토스의 보험 계열사인 카이샤 세구로스 에 사우데와 홍콩 피크재보험을 인수한 것은 물론이고 영국 푸르덴셜과도 50대50 합작으로 프라메리카푸싱 생명보험을 설립하는 등 금융업 익스포저를 확대하고 있다.이번주 역대 최대 기업공개(IPO)로 전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었던 마윈 알리바바 회장도 영향력있는 인물로 지목됐다. 그는 총 2314억4000만달러(약 241조6000억원)에 이르는 부를 축적하며 중국내 1위 갑부로 올라섰다. 알리바바는 뉴욕증시에 상장된 IT기업 가운데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시총 4위를 기록하기도 했다.이와 함께 중국내 최대 국유은행인 중국 공상은행(ICBC)을 이끌고 있는 장 지엔칭 회장과 샤오 강 중국 증권감독위원회(CSRC) 위원장도 50인에 포함됐다. 장 회장은 중국 건설은행장을 거친 뒤 공상은행을 맡아 부실은행을 중국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은행으로 탈바꿈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차기 증권감독위원회 위원장을 거론되고 있다. 중국은행(BOC)장을 역임했던 샤오 강 위원장도 중국 금융시장 감독당국의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QFII(적격외국인기관투자가) 자격 확대를 통해 중국 금융시장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끝으로, 저우 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도 국제 금융시장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공학도 출신으로 지난 10년간 인민은행 수장을 맡으면서 중국경제와 위안화의 세계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미스터 위안화`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통화정책 전문관료. 금리 자유화와 환율 변동폭 확대를 포함한 외환제도 개선은 물론 자본시장 개혁 개방 등의 업무를 주도하고 있다. 이밖에 이번 전세계 금융시장에서 영향력있는 인물로는 자산운용사 가운데 월가 초대형 헤지펀드인 오메가 어드바이저 창업주인 레온 쿠퍼맨과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을 이끄는 래리 핑크 공동 창업주, 메리 캘러헌 어도스 JP모건자산운용 최고경영자(CEO), 대표적인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 블랙스톤 공동 창업주인 스티븐 슈워츠먼,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폴 싱어 CEO 등이 포함됐다. 학자 및 이코노미스트 가운데서는 잭 보글 뱅가드그룹 창업주, 티모시 가튼 애쉬 옥스퍼드대 교수, 라엘 브레이너드 미 연준 이사, 캐이시 마츠이 골드만삭스그룹 일본주식 담당 수석 전략가, ‘21세기 자본론’으로 전세계 지성계를 강타하고 있는 토마 피케티 파리정경대학 교수 등이 포함됐고, 기업 투자자로는 매리 바라 제너럴 모터스(GM) CEO,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CEO 겸 회장, 팀 쿡 애플 CEO, 제프리 이멜트 제너럴 일렉트릭(GE) CEO, 엘런 머스크 테슬라모터스 창업주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은행가로는 인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여성인 아룬하티 브하타차리아 인도 최대 국영 인도은행(State Bank of India) 회장과 로이드 블랭크페인 골드만삭스그룹 CEO, 아나 파트리샤 보틴 방코산탄데르 CEO, 제임스 고먼 모건스탠리 CEO 등이 선정됐다.
- [투자의맥]2억원 넘은 버크셔처럼..고가주 더 간다
- [이데일리 김세형 기자]대신증권은 올 상반기 코스피시장에서 나타난 고가주 강세 현상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최근 주당 2억원을 돌파한 버크셔해서웨이클래식A 주식처럼 우리 증시 고가주 역시 희소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지난 14일 현재 200만원을 넘는 주식은 롯데제과, 롯데칠성, 아모레퍼시픽 3개로 최근 1년 각각 39.4%, 47.4%, 126.0%나 상승했다. 50만원 넘는 고가주들 역시 올해 평균 25% 상승하며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특히 이들 50만원을 넘는 고가주들은 PER가 30배를 넘는 밸류에이션 부담을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대신증권은 희소성과 정책적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영일 연구원은 “고가주들은 외국인 지분율이 높고 지분율 변화가 크지 않아 물량 공급이 제한적”이라며 “반면 인덱스펀드 입장에서 고가주는 대부분이 KOSPI200에 편입돼 있어 주가가 올라가면 인덱스 펀드에 편입해야 하는데 유동성이 높지 않아 쉽지 않은 골치덩어리”라고 밝혔다.그는 “결국 고가주는 희소성으로 인해 ‘공급은 제한되고 주가가 상승할수록 수요가 커져’ 주가 상승이 가속화되는 수급적 순환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거래소가 고가주 액면분할 유도 정책을 언급하면서, 고가주 추가 상승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고가주 강세는 3분기 중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PBR 기준 밸류에이션 부담이 지나치게 높은 종목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한편 코스피 내 50만원을 넘는 고가주는 200만원을 넘은 롯데제과, 롯데칠성, 아모레퍼시픽 3개외에 영풍, 태광산업, 삼성전자, 아모레G(002790)(이상 100만원 이상), 오리온(001800), 남양유업(003920), 네이버(035420), 롯데푸드(002270), KCC(002380), 한국쉘석유(002960), 오뚜기(007310)(이상 50만원 이상)이 있다. ▶ 관련기사 ◀☞아모레G, 자회사 실적 개선세 지속..목표가↑-우리
- [글로벌 NOW] 버핏이 기다리는 `팻 피치`(下)
-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글로벌 NOW] 버핏이 기다리는 `팻 피치`(上)편에서 이어집니다. ‘투자의 귀재’라고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도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할 정도의 시장 상황이라고는 하지만, 버핏 CEO가 언제까지 관망만 하고 있진 않을 것이라는 게 정설이다. ‘팻 피치’(fat pitch)가 불가능하다면 어느 정도 리스크를 감내할 수도 있다. 지난 2012년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팻 피치가 들어올 때까지 잘 기다리는 타자는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반면 이를 기다리지 못하는 타자는 마이너리그로 강등되고 말 것”이라며 비유를 들었던 버핏 CEO도 야구와 투자는 엄연히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분기별 버크셔 해서웨이 순이익 추이 (단위: 억달러, 자료=버크셔 SEC 공시)그는 “테드 (윌리엄스)와 달리, 우리(투자자들)는 스트라이크 존에 꽉차는 공을 세 번씩이나 치지 않아도 스트라이크 아웃될 일이 없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 어깨에 방망이를 걸친 채 그냥 타석에 서 있기만 하는 건 유쾌하지 않을 뿐더러 용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버크셔가 `코끼리`(=인수합병(M&A) 대상이 될 거대 매물)를 기다리는 대신 `집토끼`(=기존 사업)를 키우는 쪽으로 초점을 바꿨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 지난 2분기(4~6월) 버크셔의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1%나 급증한 64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였다. 이처럼 눈에 띄는 M&A가 없는 가운데서도 버크셔가 눈에 띄는 성적을 낸 것은 기존 사업에 대한 재투자 덕이었다. 이 기간중 지난 2010년에 인수했던 온라인 자동차 보험사인 가이코(Geico)와 북미에서 두 번째로 큰 철도회사인 BNSF 등에서의 수익이 크게 늘었다. 실제 BNSF의 순이익은 9억16000만달러였다. 유틸리티 사업인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도 지난해 12월 NV에너지 인수 이후 덩치가 커지면서 3억연도별 버크셔의 기존사업 재투자 규모. 단, 2014년은 상반기만 집계한 데이터 (단위: 억달러, 자료=버크셔 SEC 공시)7500만달러를 벌어들였다. 가이코는 3억9300만달러의 흑자를 냈다. 캐시 세이퍼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캐피탈IQ 애널리스트는 “올들어 버핏은 경기에 민감한 사업들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고 이는 최근 경기 회복 덕에 큰 수익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버핏의 달라진 투자 방식이 제대로 먹혀들고 있다”고 풀이했다. 올 상반기중 버핏 CEO는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에 24억달러, BNSF에 22억달러의 자본지출을 단행했다. 영업과 관련된 부동산을 매입하고 설비투자를 확대하는데 대부분의 돈을 썼다. 버크셔가 투자한 회사들에 들어간 전체 자본지출 61억달러 가운데 75% 이상인 46억달러(약 4조7400억원)를 두 회사에 쏟아부은 셈이다. 또 2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버크셔는 “하반기에도 이 두 회사에 69억달러(약 7조1120억원)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이럴 경우 올 한 해에 두 회사에만 115억달러라는 거금을 투자하게 된다. 버핏은 이같은 투자가 비싸지만 높은 수익을 내준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다. M&A 뿐만 아니라 버크셔내에 있는 기업들에 재투자하는 것도 장기적인 성장 전략으로 보고 있다는 얘기다.버크셔 해서웨이의 주요 신재생에너지 사업 투자 (단위:억달러, 자료=버크셔 SEC 공시)다만 M&A는 버핏 CEO가 지금껏 회사를 키워온 핵심 전략인 만큼 투자 대상만 찾으면 언제든 실탄을 투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이달중 84세 생일을 맞는 버핏 CEO가 자신의 취임 50주년이 되는 내년에 대규모 투자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지금으로서 가장 유력한 투자대상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다. 버핏 CEO는 지난달 에디슨 전기연구소가 라스베거스에서 개최한 연례 컨퍼런스에서 “지금까지 미국 풍력과 태양광 발전에 150억달러를 투자했는데, 앞으로 투자규모를 지금보다 두 배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버핏 이후의 버크셔`(Berkshire Beyond Buffett)의 저자인 로렌스 컨닝햄 조지워싱턴대학 교수는 “버핏은 항상 버크셔의 현재보다는 미래를 보고 투자해왔다”며 “버핏은 아직 발달되지 않았지만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사업들에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버크셔는 지난 2000년 아이오와주에 있는 에너지 기업을 인수해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로 개명했다. 이 회사는 영국 전력망 사업과 미국에서 그레이트 레이크에서 텍사스를 잇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 네바다와 오레건주에서 전기사업 등으로 확대했고, 아이오와와 와이오밍주에서 풍력 발전을,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시작했다. 또 중국 대표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비야디(BYD) 지분도 12억9300만달러 어치 보유하고 있다. 최근 6개월간 지분을 2억달러 정도 늘렸다. 현재 미국은 최근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투자를 늘리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지난 2005년 배출량대비 30% 줄일 계획이다. 닉 애킨스 어메리칸일렉트릭파워 CEO는 “이런 신재생 에너지 사업은 엄청난 자본이 필요한 자본 집약적 산업”이라며 “그런 점이 버핏의 투자를 자극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버크셔의 현금이 사상 최대로 늘어난 것은, 자산들이 모두 고평가돼 버핏 회장도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투자대상을 노리고 있는 만큼 어느 때보다 신중함을 기하고 있다는 증거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