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 제조사인 화웨이의 반도체 부품 조달 길을 모두 막는 초강력 추가 제재 카드를 꺼낸 가운데 이 조치가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업체에 미칠 영향을 두고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당장 우리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제재 범위 확대 등에 따라 악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상무부가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한 화웨이 추가 제재안에 따르면 제3국 반도체 회사들도 미국 기술과 장비 등을 부분적으로라도 활용했다면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할 시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전에는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의 반도체 기업의 미국 기술 활용도가 25% 이하라면 자유롭게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은 한층 강화한 조치를 통해 화웨이에 공급되는 반도체 우회로를 완전히 막아버렸다.
이번 제재로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전세계 파운드리 시장의 50%를 장악한 TSMC는 화웨이를 최대 고객사로 두고 있다. TSMC는 전체 매출의 10~15%가 화웨이를 통해 나오는 만큼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또 미국 기업이지만 미국 밖에서 생산한 반도체를 화웨이에 공급해온 인텔과 퀄컴 등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추가 제재가 반도체 설계전문(팹리스) 업체를 겨냥한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이 받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미국 정부가 중국과 한국 내 공장에서 미국 기술을 활용해 생산한 반도체 칩과 소프트웨어 판매를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미국이 제재 수위를 더 높여 비메모리 반도체에 이어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까지 관련 조치를 확대하면 우리 기업에도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화웨이를 비롯한 다수 중국 기업에 스마트폰부터 서버, 5세대 이동통신(5G) 장비 등에 메모리 반도체를 대량 공급 중이기 때문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삼성전자에게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당장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분야에서는 화웨이의 위축으로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반도체 분야에서는 거대 고객사인 화웨이의 공백이 크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비메모리 세계 1위 목표를 선언하고 대규모 투자에 나선 상황이어서 중장기적으로는 이번 조치의 영향권을 벗어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의 이번 화웨이 추가 제재로 당장은 국내 기업이 통신과 반도체 등 분야에서 반사이익을 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반도체 자급주의를 강력하게 밝힌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 역시 견제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이 관련 제재 범위를 추가로 확대할 여지가 남아 있는 만큼 당분간 우리 기업의 미국 정부 눈치 보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중국 통신장비 제조사인 화웨이(HUAWEI)가 지난해 9월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한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9’에 마련한 전시 부스. (사진=김종호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