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K, TSMC 수준으로 공개할 듯
7일 업계와 미 정부가 반도체 정보를 제출하도록 요구한 사이트에 따르면 기업 및 대학 등 유관기업이 30곳이 자료를 냈다. 미 정부가 설정한 제출 시한은 현지시간 8일이다. 그러나 기밀을 제출한 곳은 눈에 띄지 않았다. 공개 형태로 자료를 제출하더라도 최대 고객사 3곳을 묻는 항목에 “당사는 나스닥 상장 기업으로서 해당 정보를 밝힐 수 없다”(타워세미컨덕터)는 식으로 대응했다. 제품별 재고·최근 판매량 등의 항목은 아예 비워놓기도 했다.
TSMC의 경우 총 3개 파일 중 2개는 미 정부만 확인할 수 있도록 했고, 나머지 1개만 공개 처리했다. 공개된 파일엔 반도체 생산과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만 기재했다. 반도체 원료 종류, 생산 제품 종류 등을 표시했으며, 2019~2020년 매출 규모(2021년 전망치도 포함)와 함께 제품 생산량과 부문별 생산 비중도 일부만 담았다. 미 정부가 만들어둔 답변란 대부분도 빈칸으로 뒀다. 의견을 제시하라는 칸에는 “대응 방법은 기밀 서류로 별도 제출한다”고 썼다. 물론, 비공개 파일에도 영업상 비밀유지 조항에 저촉되거나 민감한 내부 정보는 제외했을 것이란 게 업계의 추정이다. 마이크론은 공개 자료 없이 1개 기밀자료만을, UMC의 경우 공개 자료 1건과 기밀자료 1건을 올렸다.
|
앞서 미 정부는 반도체 부족 사태가 지속하자 공급망 상황을 자체적으로 조사하겠다며 지난 9월24일 글로벌 반도체 업계와 화상 회의를 열고 ‘45일 내로 반도체 재고와 고객사 등 공급망 정보를 담은 설문지를 제출하라’고 요구했었다. 애초 반도체 재고 수량과 주문 내역, 제품별 매출, 고객사 정보 등 26가지 문항에 대한 답을 원했다. 그러나 기업들이 영업기밀이라고 강하게 반발하자 고객사 정보 대신 자동차용·휴대전화용·컴퓨터용 등 산업별 자료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막판까지 공개 수준을 고심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결국 TSMC 수준으로 자료를 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다. 다른 기업들이 공개한 자료를 가이드라인 삼아 자료 제출 범위를 결정할 것이란 얘기다. 앞서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달 26일 미 정보 제출 요구와 관련, “여러 가지를 고려해 차분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했으며,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도 같은 달 28일 “내부에서 검토 중이며 정부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했다.
|
우리 정부도 대응에 나선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을 방문, 지나 레이몬도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난다. 이 자리에서 우리 기업 측의 사정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한 우리 기업 정보의 최소 범위 내 활용, 외부 유출 금지 등을 당부할 것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미 정부가 원하는 핵심 정보가 빠질 것이 자명한 만큼 추가 정보를 강제로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반도체 자료 제출’ 논란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