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서울 서초구에 자리 잡은 우리미래당사에서 만난 오태양(43) 상임운영위원장(대표)은 청년 정치의 어려움을 이같이 토로했다. 우리미래는 지난해 3월 창당한 정당으로 ‘우리미래는 우리의 손으로’를 구호로 한, 당원 8000여명 규모의 청년진보정당이다.
지난 6.13 지방선거에는 서울시장 후보를 포함해 총 9명의 후보를 냈다. 이중 김소희 후보는 도봉구 기초의원선거에서 약 8%의 득표율을 기록해 바른미래당 후보를 꺾는 이변을 낳기도 했다.
오 위원장은 “우리미래당이 어느 한순간에 나타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2000년대 초반 청년들이 ‘당사자 운동’을 벌였다”면서 “이때 청년유니온, 민달팽이유니온 등 청년 시민 단체가 우리 사회에 나왔고 그 결실 중 하나가 우리미래”라고 부연했다.
“출산정책, 핵심은 출산장려금이 아닌 경력단절”
그는 “현대사를 보면 산업화 세력이 한 세대, 1987년 이후 민주화 세력이 한 세대를 이끌었다”면서 “우리 사회를 이끌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청년들이 모인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간 기성 정당이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고 있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오 위원장은 기성정당은 두 가지의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 그는 “우선 기성 정당들은 청년의 목소리를 담보한 당헌·당규가 있음에도 뭉개고 있다”면서 “생색내기로 비례후보를 뽑고 당선권 밖으로 몰거나, 선거 때만 청년을 이용하고 (청년정치인으로) 육성하지 않고 있는 것도 한 단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 위원장은 “세상을 보는 관점이나 이슈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론 역시 청년과 기성세대는 다르다”고 했다. 그는 출산보육정책을 예로 들었다. 오 위원장은 “우리 사회는 출산 정책을 50~60대 남성들이 입안한다”면서 “접근하는 방식도 ‘출산장려금을 많이 주자’는 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여성으로서는 출산을 ‘경력단절’의 입장에서 받아들인다”며 “접근 방식이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실적으로 당 운영은 빠듯하다. 우리미래의 당직자는 상근직 10명을 포함해 반상근직,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당 업무를 돕는 직장인 당직자 등 20명으로 구성돼 있다. 정치의 중심인 여의도가 아닌 서울교대 근처 한적한 골목, 제대로 된 간판조차 없는 곳에 당사가 자리 잡은 이유도 경비 절약을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
오 위원장은 “현재 국고보조금도 기성정당은 득표수보다 많이 가져간다. 아예 작은 정당은 진입 자체가 어렵다”며 “정당 활동 보조금 분배의 재고가 없는 한, 소수정당은 선거와 동시에 소멸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 등이 주창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결국 대안이라고 내놨다. 오 위원장은 “이마저도 거대 양당에서 ‘권역별 비례제’나 ‘중대선거구제’ 목소리가 나온다”면서 “결국 양대 정당에 유리한 결과가 나올 뿐”이라고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비판했다.
현재 가장 심각한 청년 문제로는 주거 문제를 꼽았다. 오 위원장은 “주거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 ‘지옥고’(지하·옥탑방·고시원)라는 신조어가 나올 지경”이라면서 “국선변호사는 있는데 왜 국선공인중개사는 없는지, 공공기관을 지을 때 상층부에 청년주거 시설을 짓는 방안 등 다양한 해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민주노총은 대기업 노조 중심 노동자를 대변한다. 청년들이 청년유니온이라는 세대별 노동조합을 만든 이유”라면서 “정치에서도 이제 막 당사자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가시화된 결과물이 나올 것”이라고 의지를 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