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코레일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와 탈선사고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3월 대전의 열차 검수고에서 객차 하부와 레일 사이 끼임으로 추정되는 사고로 근로자가 숨졌다. 7월(서울 중랑역)과 9월(고양 정발산역), 11월(의왕 오봉역)엔 각각 현장에서 작업중이던 근로자가 열차에 부딪혀 목숨을 잃었다. 올 한해 사망자가 최근 3년(2019~2021년)간 사망자(2명)의 2배다. 여기에 지난달 6일 무궁화호 열차가 영등포역 진입 중 6량의 궤도이탈로 승객 34명이 부상을 입는 등 열차사고도 유독 빈번해지고 있다.
코레일은 올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중대재해 건수가 가장 많은 사업장이다. 나 사장은 이미 중대법 위반 혐의로 입건돼 있다. 유사한 재해가 반복되는데도 위험요인의 확인과 개선, 책임자 처벌 등 기본적인 안전메뉴얼조차 이행하지 않은 코레일은 원 장관의 말대로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 한발 더 나아가 코레일의 사례는 공공부문 개혁의 당위성을 보여준다. 전문성과 능력이 부족한 낙하산 인사가 기관장을 꿰차고 기득권 유지에 급급한 노조는 이를 빌미삼아 서로 야합하는 모럴해저드는 비단 코레일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