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부러진 뼈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개방성 골절은 상처를 통해 균들이 골절부위에 들어가므로 감염을 일으키기 쉽고, 심한 경우 뼈와 골수를 파괴하고 고름을 만드는 ‘외상 후 만성 골수염’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개방성 골절이 아니더라도 수술 후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치료가 원활하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화되어서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소량의 고름이라도 간과해선 안돼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작은 상처를 통해서 소량의 고름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부종,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무런 증상 없이 지속적으로 고름이 나오기도 한다. 겉으로는 작은 농루를 통해 간헐적으로 고름이 나오고, 소독을 하고 항생제를 복용하면 일시적으로 고름이 멈추고 상처도 나아 심각성을 인식하기가 어렵다. 경우에 따라서는 만성 골수염이 급성화 증상을 나타낼 때도 있는데, 상처 부위가 빨갛게 붓고, 온몸에 열이 나기도 하고 고름이 갑자기 많이 쏟아져 나오기도 한다.
오종건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골수염의 증상은 뼈 속 세균이 골수를 광범위하게 파괴하고 나서야 비로소 단단한 뼈를 뚫고 근육과 피부를 괴사 시킨 후 밖으로 고름을 배출시키는 것”이라며 “소량의 고름이라도 가벼이 여기지 말고 골수염 진행 가능성을 꼭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들은 골수염 발병위험도 높고 치료효과도 좋지 않다. 염증의 파급은 인접한 관절의 관절염, 성장판 손상, 운동장애 등 장기적으로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또한 감염이 심하거나 혈액 공급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죽은 조직 제거를 위해 팔, 다리를 절단하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 특히,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나 노약자의 경우 전신적으로 감염이 확산될 경우 패혈증으로 인한 쇼크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많은 골절환자들이 ‘뼈만 붙으면 되지’라는 생각에 방치해 병을 키우거나, 높은 재발률로 불치병으로 오인해 치료를 포기하기도 한다. 골수염이 치료가 어렵고 재발이 많은 질병이긴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많은 만성 골수염이 완치될 수 있는 만큼 조기에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괴사 조직 제거, 균 사멸, 결손부위 재건 등 치료 원칙 반드시 지켜야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은 재발이 잦고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재발하거나 치료가 되지 않고 끊임없이 배농이 지속되는 상당수의 경우에서는 철저한 괴사조직의 제거, 적절한 항생제 치료, 그리고 연부 조직의 재건과 같은 치료 원칙이 잘 지켜지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오종건 교수는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은 세 가지 치료 원칙만 잘 지킨다면 상당 부분 치료가 가능하다”며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은 10년 후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증세가 다 없어져 완치 판정을 받았다 하더라도 지속적, 장기적인 추적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