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간담회는 지난해 10월 26일 이후 약 6개월만에 열리는 행사다. 은행연은 한국은행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금융 현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간담회를 마련했다고 소개했다.
간담회는 이 총재와 김광수 은행연 회장을 비롯해 농협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하나은행·기업은행·국민은행·한국씨티은행·수협은행·신용보증기금·대구은행·부산은행·광주은행·전북은행·경남은행·기술보증기금·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은행연합회 사원은행 가입순) 18곳의 은행장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은행 총재와 은행장들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은행 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김 회장은 또 은행이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다양한 은행산업 현안과 관련하여 한국은행이 함께 고민해주길 요청했다.
이 총재는 지난주 미국에서 열렸던 주요 20개국(G20) 회의와 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그룹(IMF-WBG) 회의를 소개했다. 그는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통화 정책을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가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대두돼 이번 회의에서도 관련한 심도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적인 통화 정책 운용 과정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도 이견이 일었다. 금융당국이 대출금리를 낮추게 되면 기준금리 인상이 효과 없는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총재는 또 “(기준)금리를 올렸는데 시장이 전혀 고통을 받지 않았다면 지금 이 상태(고금리)에 있겠나”면서 “가계부채나 부동산 시장을 보면 예상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간담회에서 SVB 사태 이후 금융시장을 바라보는 국제금융계의 시각과 향후 국내외 금융시장 전망 등에 대한 의견도 나타냈다. 이번 사태가 아직까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앞으로 유사한 이벤트의 국내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한국은행 등 관계 당국과 금융기관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아울러 “은행권 현안을 포함한 주요 금융·경제 이슈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지고 살펴볼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