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최근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는 여러가지 공공개발 사업들을 보다 보면 이 낄끼빠빠라는 말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정부가 공공개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낄끼빠빠를 제대로 못하는 것처럼 보여서다.
|
지난 2월 공공주택지구로 선정된 서울 용산구 서울역 쪽방촌(동자동) 일대 토지·건물 소유주의 의견도 마찬가지다. 동자동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는 “구청에서 정비사업을 위해 재정비용역을 진행하고 있던 도중, 국토부가 토지강탈을 시도했다”며 “일부에 지나지 않는 쪽방촌을 핑계로 주민 들과의 어떠한 상의나 동의 절차 없이 지자체의 진행 사항조차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공공의 도움이 필요함에도 정부가 ‘빠져버렸다’고 하소연하는 곳들도 있다. 공공재개발에서 탈락한데다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후보지 선정에서마저 제외된 서울 성북구 성북5구역이 대표적이다. 이 구역 주민은 “민간 개발이 어려워 정부에 공공 주도의 개발을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외면받았다”고 한탄했다.
그러나 공공 주도 개발사업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잡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끼어들 상황과 아닌 상황을 구분하는 게 중요해 보인다. 공공이 들어가야 할 곳에만 신중히 개입하는 ‘낄끼빠빠’의 판단력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