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영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25일 ‘우리나라의 생산성 둔화요인과 개선방안’이라는 제하의 BOK이슈노트를 통해 “코로나19 충격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측면이 혼재돼 있다”고 밝혔다.
일단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세가 구조적으로 둔화됐는데 구조적 둔화를 촉발하는 요인들이 코로나 충격 이후 더 나빠졌을 것이란 분석이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5.0%에서 2008년부터 2019년까지 2.9%로 둔화됐다. 글로벌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우리나라 수출 증가율이 11.3%에서 4.4%로 악화된 측면이 있고 전자부품, 자동차, 조선업 등 주력 산업의 노동생산성(노동자 1명이 일정 기간 동안 산출하는 생산량 또는 부가가치) 연평균 증가율이 위기 이후 10.3%포인트 하락한 상황에서 저생산성 서비스업(2019년 기준 제조업의 49.3% 수준)을 중심으로 고용이 늘어난 점이 생산성 개선을 악화시키는 산업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질이 좋지 않은 저임금 일자리가 증가하는 이유다.
코로나 충격은 이런 요인들을 더욱 악화시켰을 것으로 분석된다. 정선영 부연구위원은 “감염병 확산이 장기화되면서 소비와 투자 동반 위축, 노동과 자본 투입 둔화, 글로벌 공급망과 혁신 잠재력 약화 등 생산성 둔화가 지속되고 한계기업 등에 대한 구조조정이 지연돼 시장 비효율성이 커지면서 생산성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정 부연구위원은 “향후 우리나라 생산성은 기존의 구조적인 생산성 둔화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코로나19 충격과 디지털 경제 전환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적 노력 여하에 따라 그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대안으로 △무형자산·인적자본 확충 등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구조조정 및 정부 지원 내실화 △규제 개선 △코로나19 충격 최소화 △디지털 생태계 조성 △디지털 포용력 제고 △통계 구축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