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짓는 데 드는 비용이 2020년보다 15~25%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IEA는 “풍력 발전 부문에선 운임 상승이 투자 비용을 끌어 올렸으며 태양광 발전 부문에선 운임에 더해 폴리실리콘 등 원자재 가격 상승까지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
이처럼 원자재·운임 비용이 늘자 글로벌 재생에너지 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세계 최대 풍력 터빈 제조사인 덴마크 베스타스는 올해 1분기 7억7000만유로(1조원)에 달하는 순적자를 기록했다. 업계 2·3위인 독일 지멘스가메사와 미국 GE 리뉴어블에너지도 같은 기간 3억7000만유로(5088억원)와 4억3400만달러(5648억원)의 순적자를 봤다.
재생에너지 업계에선 원자재·운임 비용의 상승이 투자비 증가로 이어져 ‘경영 악화’라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호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재생에너지 사업 대부분이 금융기관들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프로젝트는 사업이 지연되거나 좌초될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재생에너지 사업 확대에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유럽연합(EU) 국가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천연가스 수급에 어려움을 겪자 재생에너지 사업 확대에 나섰고 이러한 정책이 곧 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의 물꼬를 텄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러-우 전쟁을 계기로 재생에너지가 국가 에너지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국내도 재생에너지 산업을 키워야 한다”며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원자재·운임 비용 상승에 대한 민·관 합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도 지난 23일 ‘재생에너지 산업 밸류체인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책 마련을 호소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투자세액공제비율 향상 등 기업 지원정책 개정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