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통해 남북 대화 재개국면을 노리던 문재인 대통령의 이른바 ‘베이징 플랜’이 틀어지면서 ‘다음 수’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북한 올림픽위원회의 자격을 내년 말까지 정지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베이징에서 남북이 조우하는 그림이 나오기 어렵게 되면서다.
|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노리며 베이징을 바라보던 문 대통령의 계획이 사실상 무산됐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자연스럽게 만나며 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처럼 대화국면을 조성하려 했으나 어렵게 됐다. 북한이 국가차원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0일 “한반도의 호의적인 평화와 통일을 위한 프로세스를 위해 항상 노력하겠다”는 말로 답답한 상황을 표현했다.
IOC가 북한 올림픽위원회의 자격을 정지하긴 했으나 북한 선수들의 출전 자체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러시아는 2016년 도핑문제로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 금지처분을 받았으나 자격이 있는 선수들은 개인 자격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북한이 선수들만 별도로 올림픽에 출전시킬 가능성은 높지 않은데다 김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자급 인사들이 베이징을 찾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
청와대는 이번 IOC의 결정과 김 위원장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석은 별개로 보고 참석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남북관계, 북미관계를 반전시킬 마지막 기회인 만큼 절실하다. 또한 ‘평화올림픽’으로 승화하려는 중국 역시 북한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주길 바라고 있으며 남북정상회담을 중재할 수 있다는데 기대를 걸고 있다. 오는 15일 한국을 찾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의 외교장관회담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오갈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오는 17일 남북 유엔 동시가입 30주년을 통해 다시 대북 평화 메시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지난달 치른 한미연합훈련을 축소해 진행했고 남북통신연락선이 끊긴 것에 대해서도 “정상화를 노력하고 있다”며 원론적인 반응만 낸 바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IOC의 결정에 대해 “IOC가 회원국에 취한 조치이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별도로 언급할 내용은 없다”면서도 “정부는 남북 정상이 합의한 바와 같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 다양한 계기를 통해 남북한 스포츠교류, 한반도 평화를 진전시킬 방안을 계속 찾아보고 노력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