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재정수지 적자를 이유로 국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주요국의 정부 부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나온 분석이라 더 주목된다.
최근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한 ‘주요국 재정수지 전망 비교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 순부채(총부채에서 순자산 제외) 비율을 추정한 결과 미국은 올해 95%에서 향후 5년간 103%로 8%포인트 높아질 것이라고 봤다. 국제통화기금(IMF)의 2024~2028년 성장률 전망치, 2024년 재정적자 비율(-5.1%) 등을 전제로 추정한 것이다.
일본은 같은 기간 순부채 비율이 161%에서 164%로 3%포인트 늘어난다. 독일은 47%에서 49%로 , 영국은 95%에서 98%로 증가한다. 중국의 경우 55%에서 62%로 높아질 전망이다.
다만 이러한 전망에는 성장률이 과다 추정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강 부전문위원은 “코로나 이전 수준의 성장률이 재현될 경우 일부 국가들은 순부채 비율이 예상보다 급등할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 2024~2028년 성장률 추정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5~2019년보다 0.7%포인트 높은 편이다. 과거 장기 저성장 체제로 회귀한다면 정부부채 비율을 추정치보다 훨씬 높아질 전망이다. 또 재정수지 또한 정치적 문제로 적자가 확대되거나 지속되는 경향도 있어 2024년 예측된 재정수지가 시간이 갈수록 적자폭이 더 확대되는 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미국은 향후 5년간 순부채 비율이 95%에서 113%로 무려 18%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기 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하고 재정적자 비율이 -6.8%로 더 확대될 것을 가정한 수치다. 일본 역시 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하고 재정적자가 더 심화된다면 순부채비율은 161%에서 172%로 11%포인트 상승한다.
강 부전문위원은 “성장이 대폭 둔화되고 대규모 재정적자로 대응해야만 하는 경우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지속가능성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강 부전문위원은 “브라질은 대통령의 지출 확대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4월 재정준칙 완화안을 발표하면서 대규모 재정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러시아 또한 전쟁 수행 및 국제 제재 장기화에 따른 적자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시장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