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세대 간 ‘디지털 정보화’ 격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0대 이상 5명 중 1명은 ‘은행이나 보험사 등 금융 디지털 서비스’ 사용을 포기하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고령자들을 위한 보호 규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보화 격차 확대
26일 최장훈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고령 금융소비자의 디지털 소외 확대와 대응방향’이란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세대 간 디지털정보 격차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코로나의 발생으로 이러한 현상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세대 간 디지털정보화 격차는 고령층에게 디지털 소외로 나타나고 있으며, 고령층은 금융상품 및 서비스 구매와 같은 소비활동 시 불완전 또는 사기적인 판매로 인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밝혔다.
|
물론 고령자들도 디지털사용에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 중이다. 라이나생명이 내놓은 ‘코로나19 이후 50대 이상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50대 이상 중장년 56.3%가 ‘코로나19 이후 스마트폰을 보는 시간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여전히 금융서비스에 대해서는 두려움을 나타냈다. ‘배워보려 애썼지만 사용할 줄 모르는 서비스’를 꼽는 질문에 18%가 ‘은행과 보험사 금융서비스’라고 답했다.
세대 격차 줄이기 위해 정부ㆍ금융사 노력中
금융사들도 시니어 고객을 위한 모바일 사용서를 제작하거나 앱의 글자크기 확대, 전용 콜센터 마련, 앱 내 상품가입 절차를 획기적으로 축소하는 등의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선진국보다는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고령층을 위한 금융보호실(Office of Financial Protection for Older Americans)을 설치해 교육 설계 및 자문에 대한 지침 그리고 자문인 자격증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영국의 경우 금융행위감독청(FCA)이 지난해 취약 금융소비자에 대한 회사 측의 공정한 대우를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기도 했다.
최 연구위원은 “국내도 미국과 같이 고령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전담조직의 설립을 고려하고,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특화된 교육을 통해 고령층의 지식수준을 디지털화 시대에 맞도록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며 “또한 고령자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금융회사의 지침이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