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초 한국군의 무기 정비 체계는 군직 정비 중심이었다. 그러나 무기체계 국산화와 첨단화 추세에 따라 군직 정비에서 군외 정비로 전환되는 추세다. 2015년 49.8%였던 군직 정비 비중은 2018년 42.7%로 감소했다. 2023년에는 38%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문제는 육·해·공군의 주력 장비들의 해외 외주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2015년 1948억원 규모였던 해외 외주 비용은 2018년 5275억원까지 늘었다. 2023년에는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3군의 항공장비의 경우 외주 비중이 80%에 달한다. 공군이 보유한 F-15K·(K)F-16 전투기와 E-737 공중조기경보통제기의 외주 비중은 86%나 된다. 게다가 F-X 3차 사업을 통해 F-35A 전투기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이후에도 일본이나 이탈리아와 같이 자체 정비 능력을 확보하지 못해 정비 소요 발생시 미국이나 일본 또는 호주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해외 정비 비용 급증과 정비기간 과도에 따른 가동률 저하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업체가 중심이 될 경우 합작법인(JV) 설립을 유도해 자회사로 편입시켜 국부 유출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경우 군직 정비창을 대신해 군수지원 전문업체인 ST 엔지니어링을 설립했는데, 기술 이전이 제한되는 보안 공정 등은 해외 업체가 싱가포르 내 합작법인 사업장에서 수행하고 있다. 박영욱 한국국방기술학회장은 “싱가포르는 정부가 민군융합 MRO(유지·보수·완전 분해·점검) 업체를 설립해 자국 정비와 해외 정비 유치 등을 통한 규모의 경제를 이뤘다”면서 “이에 따라 세계 MRO 시장 점유율 10%, 아시아태평양 지역 MRO 시장 점유율 25%를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