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7번의 대선이 있었다. 역대 대선에서 가장 큰 위력을 발휘한 징크스는 ‘총리 불가론’과 ‘10년 주기 정권교체설’이다.
‘총리 불가론’은 국무총리 출신은 대통령이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일인지하만인지상’인 총리는 대선국면마다 유력주자였지만 성공 사례가 없다. ‘영원한 2인자’로 불렸던 김종필 전 총리가 대표적이다. 3김 중 유일하게 대통령의 자리에 오르지 못했다. 문민정부 시절 총리를 지냈던 이회창 전 총재는 최고 스펙을 자랑한 막강 후보였지만 97년·2002년·2007년 대선 등 3차례 도전에서 고배를 마셨다. 참여정부 시절 고건 전 총리나 이명박정부 시절 정운찬 전 총리도 결국 실패했다.
87년 대선 이후 10년 주기 정권교체설도 빛을 발했다. △노태우·김영삼 △김대중·노무현 △이명박·박근혜 △문재인 등 10년 주기로 정권이 교체됐다. 2002년 대선을 앞두고 DJP(김대중+김종필)연대의 붕괴로 야권 승리가 유력했지만 새천년민주당은 ‘노무현바람’으로 정권재창출에 성공했다. 2012년 대선도 마찬가지다. 이명박정부의 레임덕 현상으로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았지만 ‘경제민주화’를 내세운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과반 승리였다. 징크스가 이어지면 차기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한다. 반대로 깨진다면 국민의힘이 정권교체에 성공한다.
차기 대선이 불과 4개월여 앞으로 다가왔다. 지지율을 살펴본다면 이재명 경기지사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대권에 가장 근접해있다. 물론 이 지사와 윤 전 총장 역시 적잖은 징크스가 있다. 일단 둘 중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국회의원 경력없이 대통령은 어렵다’는 징크스가 깨지게 된다. 이 지사가 승리하면 지긋지긋한 경기지사 필패론이 사라지게 된다. 윤 전 총장이 당선되면 서울대 법대 출신 최초의 대통령이 된다. 대선국면 때마다 양념 역할을 톡톡히 했던 수많은 징크스들이 차기 대선에서는 깨질까? 유지될까? 차기 대선을 지켜보는 흥미로운 관전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