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소득과 자산으로 진단한 노인 빈곤과 정책 방향’에 따르면 2017년 포괄소득을 기준으로 한 노인빈곤율은 34.8%로 분석됐다. 보유 부동산 연금화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26.7%까지 떨어진다. 이는 가처분소득만을 기준으로 작성되는 통계청의 공식 노인빈곤율(42.3%, 2017년)보다 각각 7.5%포인트와 15.6%포인트나 낮다. 노인들이 보유한 주택 등의 부동산을 임대하거나 주택연금 등에 가입해 월세나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노인빈곤율이 큰 폭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이 미국 등 선진국들에 비해 크게 높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점은 가처분 소득만을 기준 삼는 현행 통계에는 재산이 많은 ‘가짜 빈곤층’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60대의 주택 소유자 비중(46.9%)은 전체 연령층(30.1%)보다 월등히 높다. 류근관 교수(서울대 경제학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고자산(자산 상위 40%) 저소득(소득 하위 40%) 계층의 비율이 65세 이상에서는 45.2%나 된다. 극심한 부동산 선호 현상이 이 같은 통계적 오류를 증폭시키는 측면도 없지 않다. 부풀려진 노인빈곤율 통계를 현실에 맞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다양한 보조 지표 개발 노력도 기울여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