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F 2022]"尹정부, 원전늘려 탄소중립..자원외교, 안보 직결"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 남기태 서울대 교수 인터뷰
"탄소중립, 원전없이 못한다는 교훈 세계가 인식"
"신재생하려면 자원외교 뒤따라야..광물의 시대 열려"
"스케일업 지원 구상..R&D 기초체력으로 근육 키워야"
  • 등록 2022-06-08 오전 5:30:00

    수정 2022-06-08 오전 7:38:51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자 신재생 자원에만 의존하면 에너지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게 국제사회 일반 인식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 위원으로 활동한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이를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는 원자력 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되, 자원 외교에 주력해 신재생 에너지 지속가능성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남기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가 서울 관악구 서울대 교수연구실에서 이데일리 전략포럼 사전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노진환 기자)
그는 오는 15~16일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제13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기후위기: 가능성있는 미래로의 초대`의 첫째 날 연사로 나와 이런 정부 정책을 설명한다. 남 교수는 포럼 사전 인터뷰에서 “앞서 국제사회는 신재생 에너지로 만으로 전기를 충분하게 조달하리라 판단했고 한국 정부도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정책을 수립했다”며 “그러나 최근 5년 동안 전 세계가 얻은 교훈은 원전 없이는 (에너지를 안정적이고 넉넉하게 조달) 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독일이 신재생 에너지만으로 에너지를 조달하다가 현재 프랑스에서 전력을 수입하는 상황은 사례”라고 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신재생에 더해 원전을 에너지원으로 포함한 탄소 중립 정책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남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자원 외교에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재생·자연을 원천 삼아 에너지를 생산·저장하려면 새로운 소재·부품이 필요하다. 한국은 여기에 쓰이는 광물을 전량 외국에 의존하다시피 한다. 수입이 뒤틀리면 탄소 중립이 흔들릴 수 있다.

그는 “신설된 대통령실 경제안보비서관 자리는 앞으로 자원 외교를 맡을 것”이라며 “정부가 이 자리를 신설하고, 자원 외교를 국가 안보와 연결한 것은 각각 평가할 만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는 석유 시대였지만 앞으로는 (보다 상위 개념인) 미네랄(광물) 시대”라고 말했다.

특히 남 교수는 한국은 탄소 중립을 성장 기회로 살려갈 저변과 의지가 충분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은 제조업 기반 산업구조를 가지고, 정부가 세계 어디보다 담대한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했다”며 “에너지나 자원이 없지만 탄소로 부가가치를 만드는 주역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모든 산업 섹터별로 에너지 효율을 고도화하도록 지원하는 R&D 프로그램을 올해와 내년에 걸쳐 마련하고자 한다”며 “이로써 에너지 공정 효율화를 달성해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40%를 줄일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남 교수는 “R&D 부문은 문재인 정부에서 30조원까지 늘어 과학 부문에 두루 지원이 이뤄진 덕에 기초 체력을 키웠다”고 평가하면서 “현 정부는 기초 체력을 바탕으로 근육을 기르는 식으로 R&D를 육성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탄소 중립 기술이 상용화하도록 `스케일업 플랫폼`을 구축해 지원할 계획이다. 남 교수는 “기술은 손바닥에서 시작해 실험실을 거쳐 공장으로 확대돼 산업을 형성한다”며 “기술이 단계를 밟아 산업으로 이어지려면 브릿지(다리)가 필요한데, 정부 스케일업 플랫폼이 역할을 하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남기태 교수는

△서울대 재료공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공학박사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포스트닥터 △서울대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 △제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분과 인수위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대왕고래 시추선 크기가..
  • 상경하는 트랙터
  • 제2의 손흥민
  • 탄핵안 서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