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용의 세계시민]'고려인의 애환' 160년

  • 등록 2024-03-18 오전 5:50:00

    수정 2024-03-18 오전 5:50:00

[언론인·이데일리 다문화동포팀 자문위원] “함경도 무산 출신 최운보와 경흥 출신 양응범이 이끄는 14가구 65명이 올해 1월 이주해 프리모리예(연해주) 포시예트의 지신허(地新墟·치진헤) 마을을 개척하며 농사를 짓고 있다.”

1864년 9월 21일 남우수리스크 포시예트지구 노브고로드 경비대장 레자노프가 상급 지휘관인 해군 소장 카자케비치에게 올린 보고서의 한 대목이다. 한 민족이 러시아에 집단 이주한 최초의 기록이다.

당시 연해주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수탈과 착취를 견디다 못해 두만강을 넘는 조선인은 갈수록 불어났다. 1869년에는 함경도에 홍수 때문에 ‘기사흉년’이 발생해 농민 6500여 명이 대거 이주하기도 했다.

1905년 을사늑약 전후에는 국권을 되찾으려는 우국지사가 몰려들어 연해주는 항일독립운동의 요람이 됐다. 이범윤·이상설·이동휘·이동녕·신채호·박은식·최재형·홍범도·안중근 등이 독립군을 조직하고 애국계몽운동을 펼쳤다.

독립운동 진영의 내분과 일제의 집요한 탄압으로 항일 열기는 식어갔지만 연해주로 이주하는 발길은 끊이지 않았다. 1930년대에는 고려인이 20만을 넘었다. 곳곳에 고려인 학교가 세워지고 한글 신문·잡지가 발간되는가 하면 우리말 극단도 창립했다.

지난 2월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고려인/한인이주 16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발대식이 열리고 있다.(사진=고려인지원단체 너머)
소련의 스탈린 정권은 1937년 9~12월 고려인 약 17만 명을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시켰다. 열차에 짐짝처럼 실려 6500㎞를 이동하는 도중 추위와 굶주림으로 1만여 명이 숨졌다. 삶의 기반이 뿌리째 뽑혀 황무지에 내던져졌는데도 끈질긴 생명력을 발휘해 살아남았고,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 소수민족의 모범으로 꼽혔다.

현대에 들어와서도 시련은 계속됐다. 1991년 연방 해체 후 독립한 구 소련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민족어를 공용어로 선포하자 러시아어만 써오던 고려인들은 전문직과 공직에서 밀려나 하층민으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피땀 흘려 이룬 터전을 버리고 러시아 등지로 재이주하는 행렬이 생겨났다.

2023년 재외동포청 통계에 따르면 고려인은 우즈베키스탄(17만2555명), 러시아(12만1188명), 카자흐스탄(11만9542명), 키르기스스탄(1만8953명), 우크라이나(1만2711명)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다. 이 가운데 11만 명이 우리나라에 체류한다. 국적별로는 우즈베키스탄(4만3326명), 러시아(3만8311명), 카자흐스탄(2만2503명), 키르기스스탄(4150명), 우크라이나(3456명) 순이다(2024년 1월 법무부 통계월보).

광주광역시 월곡동, 인천광역시 연수동(함박마을),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땟골),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에는 고려인 마을이 생겨났다. 인구 감소와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충북 제천시는 지난해 ‘고려인 등 재외동포 주민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고려인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경북 경주시도 지난 12일 ‘고려인 주민 지원 조례‘를 공포했다.

귀환 고려인들은 대부분 우리말을 구사하지 못해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며 생활고를 겪고 있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한러 관계가 얼어붙어 모국 동포들의 시선이 차가워진 데다 육군사관학교의 홍범도 장군 흉상 논란으로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

2017년 7월 23일 러시아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에셔 열린 ‘1937 통곡의 연해주 진혼문화제’에서 고려인 4세들이 전통검무를 선보이고 있다.(사진=이희용)
올해는 고려인 이주 160주년이다. 미국 하와이 농업이민보다 39년 앞선 해외 개척사의 효시이자 근현대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시작이다. 민족공동체의 외연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로 넓히는 과정에서 혹독한 고난을 겪어야 했다.

국내외 고려인공동체와 지원단체 등은 고려인/한인이주 16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지난달 22일 국회에서 발대식을 열었다. 오는 9월 집중적으로 공연, 전시, 포럼, 세미나 등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펼칠 예정이다. 재외동포청도 고려인 모국 초청을 비롯한 기념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고려인 가운데 상당수는 독립운동에 나섰거나 독립운동을 도운 애국지사의 후손이다. 국적이나 이념도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었다. 이제 이들이 할아버지 할머니의 나라에 살고 싶어 우리 곁에 오고 있다. 고려인 형제·자매를 좀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