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무섭게 증가하고 있다. 확진 판정일 기준으로 지난 9일 5만명, 17일 10만명을 넘은 데 이어 그제 17만명도 넘었다. 기세로 보아 20만명, 30만명도 곧 넘을 것 같다. 그럼에도 정부는 연일 코로나 출구론을 편다. 정부는 그제 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 상황에 대해 “출구를 찾는 초입에 들어섰다”고 선언했다. 어제는 김부겸 국무총리가 “위증증과 사망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이라고 전제하긴 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을 큰 틀에서 개편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제부터는 코로나 방역과 의료 대응을 독감과 같은 풍토병 대응 수준으로 낮춰가겠다는 뜻이다.
해외에서 미국을 비롯해 확진자 폭증세가 꺾이면서 코로나가 풍토병화할 기미를 보이는 나라가 하나 둘 생겨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런 움직임이 불가역적 추세로 확인된 것은 아직 아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그런 나라들에 비해 오미크론 변이의 본격적 확산이 늦게 시작된데다 현 유행주기의 정점이 언제가 될지도 예측하기 어려운 단계에 있다. 감염자의 위중증화율이 이전 유행주기에 비해 낮은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신규 확진자 수의 절대 규모가 훨씬 커져 의료체계의 부담은 다시 무거워지고 있다. 병원과 요양시설 집단감염과 가족간 감염이 늘어나는 것도 큰 문제다.
국민은 불안하기만 하다. 정부는 증세가 웬만한 확진자는 모두 재택치료 대상으로 분류한다. 그런데 최근 재택치료 중이던 생후 7개월 남자아이가 증세 악화로 입원할 병원을 찾다가 숨지는 일이 발생하는 등 재택치료 지원 체계의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다음 주에는 각급 학교가 개학하는데 정부가 전면 대면 수업을 하라고 했다가 비대면 수업을 허용하며 학교장이 알아서 수업 방식을 결정하라고 하는 등 오락가락하고 있다.
정부가 통계상 추정에만 근거해 낙관적 메시지를 연발하는 것은 성급한 태도다. 국민 각 개인이 느끼는 불안감과는 동떨어진 것일 뿐 아니라 자칫하면 코로나로 인한 피해를 더 키울 수 있다. 아직은 정부가 코로나 경계심을 이완시킬 수 있는 메시지를 내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지나친 공포도 금물이지만 섣부른 방심은 위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