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스크포스가 지난해 3월 민관 합동으로 출범할 때 예금자보호 한도 확대가 유력시되던 분위기를 돌아보면 의외의 결과다. 지난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직후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과 7월 국내 새마을금고 뱅크런을 계기로 한도 확대에 힘이 실리던 양상과도 배치된다. 이는 정부와 금융당국이 한도 확대의 부작용을 크게 우려했기 때문으로 관측된다. 한도 확대 시 은행에 예치된 자금이 저축은행으로 대거 이동해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도 확대로 금융기관이 부담하는 예금보험료가 인상되면 그 대부분이 예금금리 인하와 대출금리 인상을 통해 금융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고금리와 부동산대출 부실화 등 지금의 시장 상황에 견주어 볼 때 예금자보호 한도 확대에 따른 득이 실보다 적다고 판단한 셈이다. 그러나 한도 확대 시 불이익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는 은행 등 일부의 반발을 너무 의식해 금융소비자의 편익을 외면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이제 공은 국회로 넘어가게 됐다. 국회가 득실계산을 보다 엄정하게 하길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