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청년 일자리관련 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청년층이 실제 체감하는 고용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실업자 중 20대 후반과 니트(NEET·학교도 일도 직업 훈련도 받지 않는 젊은이)중 고학력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특성에 맞춰 청년층 일자리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청년고용 현황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15~29세 청년고용률은 2015년 41.2%에서 2019년 43.5%로 상승했고, 청년실업률은 같은기간 9.1%에서 8.9%로 하락했다. 전체 고용률(최근 5년간 평균증가율 0.36%)보다 청년고용률(최근 5년간 평균증가율 1.44%)이 더 빠르게 증가했다.
총 비정규직 취업자수 대비 청년층의 비정규직 취업자수 비율도 감소하는 추세다. 청년층 비정규직 취업자수 비율은 2003년 28.3%에서 2018년 19.3%로 감소했다.
하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은 42.7%로 OECD 평균(53.5%)보다 낮은 수준이다. 청년실업률도 9.5%로 OECD평균(9.2%)보다 높고 일본(3.8%)에 비해서는 2배 이상 높다.
확장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 잠재경제활동인구’ 대비 ‘시간 관련 추가취업가능자 + 실업자 + 잠재경제활동인구’의 비율‘로 나타낸다.
|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은 7.8%이지만 2018년 기준 전체 실업자에서 20대 후반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김승현 국회예정처 경제분석관은 “전체 실업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실업자 중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20대 후반 실업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교육-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 청년 니트 중 고학력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춘 청년고용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