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토지보상 및 부동산개발 정보 플랫폼 지존에 따르면 올해 전국 308곳의 도시공원에서 모두 2조 1800억 2219만 8700원의 토지보상 예산이 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존이 전국 187개 광역 및 기초 지자체의 세출예산서와 정보공개 청구 등의 방법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로, 각 지자체별로 추경을 편성할 경우 앞으로 금액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더해 도시공원 일몰제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 중인 전국 민간공원 특례사업지구에서도 2조원으로 추산되는 토지보상금이 풀릴 예정으로 올해 토지보상금은 총 4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이란 민간사업자가 도시공원 전체를 매입해 70%이상은 공원으로 조성하고,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는 방식으로 공원을 조성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30%미만에서는 공동주택 건설 등 수익사업을 통해 비용을 충당하는 것을 말한다.
|
올해 가장 많은 공원 토지보상비가 풀리는 곳은 경기도로 23개 기초 지자체에서 모두 6063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이는 지난해 1726억 9491만원 대비 351.1% 늘어난 규모로, 금년 전체 예산의 27.8%에 해당하는 규모다. 다음으로는 서울이 4914억 원, 대구 3009억 원, 경남 1551억 원, 제주 1449억 원의 순으로 조사됐다.
공원별로 보면 경기도에서는 수원시 숙지공원(179억원)등 모두 67곳의 공원에서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이 중에서 안산시 사동공원(860억원), 용인시 고기공원(613억원), 평택시 모산공원(345억원) 등 11곳의 공원에서는 각각 100억 원 이상의 토지보상비가 풀려 인근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전망이다.
대구에서는 범어공원(1509억원), 학산공원(376억원), 침산공원(80억원) 등을 비롯해 모두 22곳에서 토지보상비가 풀린다.
제주에서는 남조봉공원(380억원), 삼매봉공원(300억원) 등 19곳의 도시공원에서 토지보상비가 풀린다. 울산은 매곡공원(43억원) 등 3곳, 부산은 해운대·송정·동백공원·동래해운대공원(844억원) 등 11곳에서 각각 토지보상비가 지급된다. 이밖에도 세종의 금남공원(73억원), 광주의 영산강대상공원(100억원) 등 12곳, 전남 광양의 성황공원(160억원) 등에서 각각 배정된 예산으로 토지보상을 시작한다.
“공원 살리려면…추경 편성 등 지자체 노력 필요”
이 밖에도 현재 전국에서 민간공원으로 추진 중인 36개 공원이 사업협약, 토지보상금 예치를 거쳐 사업시행자 지정을 마친 상태다. 이들 사업지구 면적은 모두 17.09㎢로 여의도 면적(2.9㎢) 6배에 달한다. 이들 공원은 앞으로 실시계획인가를 거쳐 올해 안에 토지보상에 들어간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지구가 가장 많은 곳은 광주광역시로 9곳 공원, 10개 사업지구에서 사업이 추진 중이며 그 면적은 780만 5790㎡에 달한다. 현재 모두 사업자 지정을 마친 상태로 감정평가 등을 거쳐 오는 6월경부터 순차적으로 토지보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부산에서는 명장공원 등 5곳의 공원이 사업자 지정을 마치고 토지보상을 앞두고 있다. 부산 민간공원 특례사업에서 풀리는 토지보상금은 2500억 원으로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천안의 일봉공원과 노태공원에서도 각각 525억 원 및 780억 원 규모의 토지보상을 앞두고 있다. 포천의 태봉공원, 경기 광주의 중앙공원 및 충남 아산의 용화체육공원에서 각각 241억 원, 964억 원 및 300억 원으로 추산되는 토지보상금이 풀린다.
신태주 지존 대표는 “오는 6월 30일까지 토지보상을 하지 못한 공원은 앞으로 공원 자격이 사라질 수 있다”며 “각 지자체가 추경편성 등을 통해 공원을 지키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