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지난 8일 교육부 및 관광부 등 5개 부처 합동으로 ‘중국 메타버스 혁신 발전을 위한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메타버스 3개년 계획은 오는 2025년까지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에서 영향력을 지닌 중국 기업 3~5개를 육성하고, 메타버스 산업단지 3~5곳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중국에선 바이트댄스·텐센트·바이두 등이 메타버스 관련 투자에 나섰지만 로블록스나 네이버 제페토처럼 대규모 월간 이용자 수를 확보한 플랫폼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중국은 메타버스의 기반이 되는 AR과 혼합현실(MR), 블록체인, 인공지능(AI)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중국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만4291건의 메타버스 특허를 출원해 미국에 이어 전세계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연평균 메타버스 특허 출원 증가율이 42.5%에 달했다.
공업정보화부는 “메타버스는 디지털 경제의 중요한 성장 축”이라며 “장기적으로 빅데이터와 디지털 트윈, 컴퓨팅 기술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뤄 세계 최고의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를 형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국의 검열과 통제가 가상 공간으로 확장될 우려도 있다. 중국 당국은 게임이나 가상화폐가 결합된 가상 공간을 지양하고 정부가 통제할 수 있는 메타버스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중국 국영통신사 차이나모바일은 지난 7월 국제 기술 표준화 기구인 유엔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가상 공간에서도 이용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사법기관의 개입이 가능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중국은 가상 환경에서도 국가 통제를 계속하려 한다”며 “중국의 제안이 현실화할 경우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