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중국 정부가 12월부터 배터리 핵심 소재인 흑연 수출 통제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한국 배터리 생산 차질 우려가 커졌다. 정부는 수급대응 대책반(TF)을 가동하고 업계와 함께 수급 안정화에 나선다.
|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이 2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대응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 통제 강화 조치에 대응해 이날부터 흑연 수급대응 대책반(TF)을 가동한다. (사진=산업부) |
|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2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관계부처와 배터리 3사, 코트라 등 관계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대응회의를 열고 이날부터 흑연 수급대응 TF를 가동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일 중국 기업이 배터리 제조에 쓰이는 고순도 천연 흑연을 수출할 때 12월부터 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관련 규정을 강화했다. 군사용도로 쓰일 가능성에 대비하자는 명목인데, 미·중 첨단산업 분쟁 속 미국 측의 각종 수출통제에 대한 보복성 조치란 해석도 있다.
우리 배터리 업계는 긴장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이차전지 제조용 흑연을 2억4100만달러(약 3300억원)어치 수입했는데 이 중 93.7%가 중국산이었다. 중국 당국의 판단에 따라 수출 허가가 나지 않거나 늦어져 국내 수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정부와 배터리 업계는 중국 정부의 발표 당일에도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흑연 수급대응 TF를 중심으로 대응에 나선다. 산업부와 중국 상무부 간 고위급 대화나 기획재정부의 한·중 경제장관 회의를 통해 중국 당국과 우리 수입물량에 대한 허가 지연이나 반려가 없도록 협의에 나선다.
또 내년 국내에서 가동 예정인 인조흑연 생산공장 가동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 4년간 약 97억원의 정부 지원으로 국내 철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가공해 인조흑연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 재작년 포항에 생산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내년 한 해 약 8000t의 인조흑연 생산을 시작한다.
이와 함께 탄자니아, 모잠비크 등 흑연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의 대체 물량을 확보하고, 실리콘 음극재 등 흑연 대체재 개발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4년에 걸쳐 310억원규모 실리콘 음극재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장영진 차관은 “흑연 수급에 차질 없도록 민·관이 긴밀히 협력해나가겠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면밀히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