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경기 광명(-47.3%)과 수원 장안구(-37.6%), 서울 마포구(-35.7%)를 포함한 수도권 주요지역의 전세 물건이 두 달 전과 비교해 30~40%가량 급감했다. 서울 중구와 경기 하남, 의왕, 김포 등의 전세 물건도 20%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작년 7월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물건 부족 현상이 만성화한데다, 수도권의 젊은 층이나 직장인이 많이 찾는 지역을 중심으로 이런 현상이 심화한 것이다.
게다가 앞으로의 입주물량 자체도 적은 편이다. 올해 가을철(9∼11월)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6304가구 수준이다. 작년 같은 기간(약 7740가구)보다 1000가구 이상 줄었다. 전국 물량도 같은 기간 8만6977가구에서 8만359가구로 줄어든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전세 물건 부족현상은 구조적 차원에서 접근해도 해답을 찾기 쉽지 않을 정도로 꼬여있다”면서 “정부 정책도 매매시장 안정 차원에서만 접근할 게 아니라 전세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자 전세가격 오름세도 가팔라진 상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수도권 전셋값은 전주 대비 0.25% 상승했다. 서울 0.17% 올라 10주 연속 0.1%대 상승세를 기록했다. 경기권은 0.3%, 인천도 0.22% 올랐다.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6억3483만원으로 집계됐다.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지난해 7월(4억9922만원)보다 1억3562만원 오른 것이다.
지난 3일 기준 신한은행의 전세자금대출 대출금리는 연 2.77~3.87%로 인상 폭을 반영하면 최고 금리는 4%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KB국민은행도 지난 3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를 0.15%포인트 축소했다. NH농협은행은 전세 대출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한곳이 대출을 막으면 주변으로 수요가 몰려 관리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당국이 총량규제를 강화하면 결과적으로 세입자들의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