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1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5175만명으로 감소 전환했다.
작년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전년대비 0.03명 감소하면서 2017년 이후 5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인구 대책 추진 노력에도 저출산 기조는 더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사망자수는 31만700명으로 전년보다 1만2800명 늘었다. 인구 1000명당 사망자수인 조사망률은 6.2명으로 1984년(5.9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전년보다 0.2년 늘었다. 10년전인 2010년(80.2년)과 비교하면 3.3년 길어졌다. 기대수명은 66.3년으로 2년 전보다 1.9년 늘었다. 지난해 사망률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순으로 높았다.
|
인구구조 변화로 부양 부담은 커지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대비 고령인구 비중인 노년부양비는 지난해 23.1명에서 2025년 29.7명, 2040년에는 60.5명으로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저출산이 지속되면서 학생수는 감소하고 있다. 재정당국이 세수에 비례해 지급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개편 필요성을 언급한 이유기도 하다.
지난해 교원 1인당 학생수는 초등학교가 14.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전년대비 0.2명 감소했다. 2000년(28.7명)과 비교하면 절반도 못 미친다. 유치원은 10.9명, 고등학교 9.9명으로 1년새 각각 0.5명, 0.2명 줄었다. 중학교는 11.9명으로 0.1명 늘었다.
2020년 평균 가구원 수는 2.34명으로 전년대비 0.05명 감소했다. 1인가구와 2인가구의 비중은 31.7%, 28.0%로 같은기간 각각 1.5%포인트, 0.2%포인트 증가했다. 가구 구성이 1·2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가구 구성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더 강해지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2605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 비중이 50.3%에 달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30년 51.0%로 점차 수도권 쏠림이 심화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다만 서울의 경우 인구 비중이 지난해 18.4%로 2010년(20.4%)보다 줄었다. 2030년에는 17.6%로 더 낮아질 전망이다.
향후 인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은 특·광역시의 경우 인천·세종, 시·도 지역은 경기·강원·충북·충남·제주 지역을 예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