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사장은 2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열린 ‘미국의 반도체·전기차 지원법 대응 업계 간담회’를 마친 직후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사장은 당장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하는 전기차 배터리는 미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나라에서 일정 비율의 원료와 부품을 조달해야 하는 것에 관련해 “시기에 대해서는 걱정”이라며 “정부와 협의해 잘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현재 미국의 IRA 법안에는 아직 배터리 어떤 광물과 어느 부품에 비율을 적용할지 구체적인 기준이 나오지 않은 만큼, 미국이 연내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우리 정부와 공동으로 대응해 업계 요구를 반영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
이에 국내 배터리 업계는 당장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하는 배터리의 핵심광물 40% 이상은 미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조달해야 한다. 이 비율은 오는 2027년에는 80%까지 높아진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제조사는 이번 IRA 법안을 통해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닝더스다이)과 BYD(비야디) 등 중국 경쟁사들을 견제할 수 있어 반사이익을 누리게 됐지만, 동시에 배터리 광물과 부품에 대한 ‘ 탈(脫)중국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현재 국내 배터리 업계의 중국 광물·소재 의존도는 80~90%에 이른다. 국내 업계는 수산화리튬 83%, 코발트 87%, 황산망간 99%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지난해 배터리 반제품의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78.2%나 됐고, 음극재(85.3%)와 양극재(72.5%), 분리막(54.8%)도 50%를 웃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