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원금 이상을 회복한 투자자들이 대거 차익 실현을 보이는가 하면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원자재 수혜를 노린 신규 자금이 몰리고 있다. 다만 이미 많이 오른 만큼 절세 목적이 아니라면 다른 신흥국 국채를 권유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온다.
|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브라질 헤알화는 지난 15일 기준 260.33원을 기록했다. 올해 초 209.99원 대비 23.9%나 급등한 셈이다. 지난 2010년만 해도 700원대였던 헤알화 환율은 지속적인 내리막길을 걷다 지난해 연말 200원대 초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에 상대적으로 풍부한 원자재 보유국인 브라질이 각광을 받으며 헤알화 가치가 급등하기 시작한 것이다.
과거 10여년 전 브라질 국채가 각광을 누렸던 이유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저금리 기조에서도 브라질 채권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국채 10년물의 이표 금리가 10%대인 데다 연 2회 나누어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 구조는 누가 봐도 매력적이었다.
여기에 고액자산가들에게 있어서 비과세라는 절대적인 매력도 한몫했다. 한국과 브라질 간 조세협약 덕분에 브라질 국채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환차익, 채권 평가이익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적용된다. 이에 지난 2010년 초기에도 절세 니즈가 상대적으로 큰 고액 자산가 사이에서 브라질 채권 열풍이 일었다.
다만 당시 700원 하던 헤알이 지난해 연말 기준 200원 초반으로 3분의 1토막이 나다 보니 극심한 손실을 본 투자자 역시 적지 않았다. 한 증권사 PB 관계자는 “평균 60대인 고액자산가 고객들을 보면 브라질 채권 관련 수익률이 평균 마이너스 30% 정도였다”라고 말했다.
1분기 들어 원헤알 20% 급등…때아닌 지정학적 리스크 반사 수혜
투자자라면 누구나 버티는 자가 결국엔 승리한다는 말을 들어 봤을 것이다. 브라질 채권 투자자들 역시 10여년 간의 기나긴 장기투자 끝에 때아닌 우크라이나 사태라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헤알화 급등세 덕을 봤다.
한 국내 대형 증권사 채권영업부 관계자는 “이자가 10%대이고 환율도 20% 오르다 보니 체감상 30%가 오른 것”이라며 “원금 이상으로 올라오신 분들이 상당수 있으신데, 엑시트하는 분들도 상당히 많았고 인플레이션으로 전쟁 수혜 차원서 브라질이 주목을 받다 보니 신규로 들어오시는 분들도 계신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환손실 피해를 입었던 투자자들도 어느정도 원금 회복이 된 상황이고 이렇다 보니 매도와 매수가 거의 비등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운 좋게 장기투자가 아닌 올해 초 브라질 국채를 매입했다면 수익률은 얼마일까. 12일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초에 브라질 국채 10년물을 매입했다고 가정할 경우 수익률이 2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익률 추이는 늦게 매입할수록 점차 낮아지는 우하향 추세를 보였고 이달 초에는 마이너스 2~4% 손실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또 다른 증권사 PB지점 관계자는 “최근에는 보유했던 브라질 채권을 환매하는 고객들도 늘었다”라며 “달러로 브라질 채권을 매입한 투자자의 경우 헤알화 급등 외에도 달러가 급등세를 보인 만큼 지급되는 이자수익이 많아진다는 판단에서 다시 되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혹시 신규 투자를 계획 중인 투자자라면 좀 더 숙고의 시간을 가져보길 바란다. 신환종 NH투자증권 FICC(채권·외환·파생상품)리서치센터 센터장은 “헤알화 금리가 높은데 거의 다 올라온 상황인 만큼 금리레벨을 좋은데 환이 강해서 부담”이라면서 “브라질은 투자 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추후 변동성을 감내할 수 없는 투자자들은 투자를 피하는 게 좋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비과세 혜택을 반드시 보려는 투자자가 아니라면 멕시코 ‘페멕스’ 채권도 10%가 넘어가고 만기 2년이기 때문에 투자할 만 하다”라며 “최근에는 달러 채권도 거의 5~6% 나오는 만큼 너무 브라질 채권에만 올인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최근 브라질 정세의 혼란은 주요 리스크로 꼽힌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브라질 매체들에 따르면 최대 도시 상파울루를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지난 주말 물가 급등에 항의하는 반정부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시위 주도 세력은 브라질 정치에서 좌파로 분류되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었다.
신 연구원은 “일단 원자재 자체 가격의 변동성이 큰데다 브라질은 항상 정치적인 혼란 가능성이 높은 곳 중 하나였다”면서 “내부 불만도 많은 만큼 어느 정부가 들어서느냐에 따라 환율 흐름이 급격히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가 매우 크다”고 짚었다.
한편 브라질 중앙은행은 물가를 잡기 위해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3월부터 9차례 연속 인상된 가운데 현재 11.75%를 기록 중이며 이는 지난 2017년 4월의 12.25%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