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의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을 넘지 않는 가구의 비율은 19.77%로 집계됐다. 그중에서도 한 달 평균 소득이 100만원이 채 안 되는 가구는 8.50%,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가구가 11.27%였다.
|
이 기간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년 전보다 6.6% 증가했는데, 이는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증가율(2.9%)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그 결과 소득 1분위와 5분위간의 소득 격차를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로 1년 전(5.71배)보다 축소됐다.
가구주 연령별로 보면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 평균 61.20세 △소득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가구 59.16세 △소득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51.56세 △소득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49.89세 등을 기록했다. 가구원수로는 △소득 100만원 미만 1.31명 △소득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1.53명 △소득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1.77명 △소득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2.08명 등이다.
작년 4분기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월평균 60만9090원의 적자 살림을 했다. 소비지출이 109만2429원으로 처분가능소득(48만3339원)을 웃돈 결과다.소득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인 가구도 처분가능소득이 129만3009원, 소비지출이 145만5341원으로 16만2333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한편 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초고소득층’의 연평균 소득은 18억원을 넘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통합소득 상위 0.1%의 연평균 소득은 18억4970만원이었다. 통합소득 중위소득자 연 소득(2660만원)과 비교하면 69.5배에 달하는 수치다. 통합소득은 사업소득, 금융소득, 임대소득을 합친 종합소득에다 근로소득을 더한 개인의 전체 소득이다.
소득 상위 0.1%의 통합소득은 2018년부터 매년 평균 1억2613만 원 늘었다. 이들이 통합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4.2%에서 2021년 4.8%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