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한국 주식시장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기업 성과를 지분에 비례해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배분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이 성과를 독점하는 구조는 더 이상 시장에서 환영받지 못할 것이란 지적이다.
| (사진=구글 이미지 갈무리) |
|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23일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 지배구조는 무관심 혹은 평가절하한 측면이 적지 않았다”며 “기업가치 평가 시 지배구조의 의미와 역할이 중요함에도 간과돼 왔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좋은 지배구조’를 가르는 관건은 기업성과를 지분에 비례해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배분되는 시스템이라고 짚었다. 박 연구원은 “기업의 결실을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이 독점하는 구조로는 더 이상 시장에서 환영 받지 못할 수 밖에 없고 이는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저평가)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투명성 제고와 주주환원 확대 등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지배구조의 현 위치는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는 물론 아시아 국가 내에서도 여러 기관의 평가는 하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우리의 평가 잣대가 글로벌의 잣대와 현격한 차이가 있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비해 매우 부족한 현실을 감안하면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해 정부, 기업, 투자자 관점에서 긍정적인 변신의 노력이 경주돼야 할 때”라며 “이를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들 넘어 한국 기업들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잘못된 관행들을 타파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 제시와 대주주는 물론 소액주주 등 전체 주주들의 주주가치 제고를 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이사회 구성과 경영진의 대리인 문제 해결 등이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장기적으로 좋은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들의 주가는 차별화될 것으로 봤다. 박 연구원은 이같이 평가하며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된 모델을 만들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상적인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 기업들이 늘어날수록 한국에 대한 국민연금과 외국인의 투자비중은 늘어날 것이고, 이는 한국 주식시장이 장기 투자가 가능한 구조로 변모돼 재평가의 선순환을 맞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