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19일 에너지전환포럼이 서울 회의실에서 연 그린뉴딜 정책제안 토론회에서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내수경기 부양과 그린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전기차 판매목표를 앞당겨 달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43만대, 수소전기차 6만5000대 등 총 49만5000대의 전기차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러나 연도별 목표가 올해부터 2022년까지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형태여서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당장 내수경기 부양에는 불충분하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한 연구위원은 “전체 목표는 유지하되 연간 목표치를 2020년 10만대, 2021년 20만대, 2022년 9만500대로 수정하면 올 하반기부터 내년에 이르는 전기차 국내 수요만 30만대에 이르며 완성차업체는 물론 배터리업체도 큰 수혜를 받을 것”이라며 “예산을 앞당겨 집행하는 것인 만큼 재정 추가부담도 낮다”고 말했다.
한 연구위원은 미국이 2008년 금융위기 때 시행했던 중고차 교환 프로그램 때처럼 친환경성이 떨어지는 노후 중고차를 팔고 전기·수소차를 사는 고객에게 대당 200만원 가량의 보조금(39만5000대 기준 총 예산 7900억원) 지원이나 전기차 의무판매제, 국내 전기차·배터리 신공장 건설 인센티브 확대 등 정책을 더한다면 정책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현 상황에선 (자동차의 메카인) 울산·경남지역의 고용을 되살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전기차 판매 확대 정책과 함께 인센티브 확대를 통해 신규 전기차·배터리 공장을 유도해야 신규 고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 연구위원은 같은 맥락에서 국내 4곳에 디지털 그린 특구를 조성하자는 제안도 했다. 2021~2024년 4년에 걸쳐 4조원을 들여 4개 신산업 특구 프로젝트를 추진하자는 것이다.
그는 “구산업 집중 지역을 가만히 놔둬서는 고용이 절대로 살아날 수 없는 만큼 디지털과 그린을 융합한 맞춤화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중심의 한국형 뉴딜과 융합할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3차 추경안 수립 과정에서도 충분히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 밖에도 그린뉴딜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 제언이 나왔다. 이성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수석연구원은 학교와 농지, 공공기관을 활용한 태양광·풍력발전 확대 방안을 제안했다. 위진 GS E&R 풍력사업부문장은 국민 참여를 확대한 대규모 풍력발전사업 추진 계획을 제시했다. 윤용상 (주)에너지공유 대표는 건물 그린 리모델링을 개별 건물 단위에서 특정 지역으로 확대해서 추진하고 이 과정에서 마을재생에너지사업이나 농어민 기초소득 프로젝트를 추진하자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