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2019년 애플, 구글,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아동 노동을 착취했다는 혐의로 소송을 당했다. 국제권리변호사회(IRA)는 이들 기업이 코발트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동의 인권 침해를 인지하고도 코발트 불법 채굴을 통해 이익을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콩고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료인 코발트의 전 세계 공급량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콩고에서 벌어진 인권 유린은 휴대폰, 노트북 등에 코발트를 사용해야 하는 삼성전자도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였다. 삼성전자는 이같은 사태가 벌어진 직후 ‘분쟁광물 미사용(Conflict Mineral Free)’을 선언했다. 콩고와 같은 분쟁 지역에서 광물 채굴로 인해 야기되는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겠다는 약속이다. 삼성전자는 협력회사를 대상으로도 분쟁 및 고위험 지역에서 인권·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광물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동의서를 받아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
이재용 ‘동행’ 비전으로 속도 내는 ‘ESG’
ESG에서 삼성전자가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환경이다. 지난 2019년 미국·중국·유럽에서 재생에너지 대체율 92%를 달성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00% 전환 목표를 달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229GWh였던 총 재생에너지 사용량이 2019년에는 3220GWh로 14배 이상 증가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미국 환경보호청(EPA)으로부터 ‘그린파워 리더십’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수자원 관리가 사업장 환경보호의 시작이자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영활동으로 보고 수자원을 아껴쓰고 재사용하고 재활용하는 3R(Reduce·Reuse·Recycle)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용수 사용량 저감을 사업장 경영지표로 관리한다. 이러한 수자원 관리를 위한 노력을 인정 받아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은 지난해 영국의 친환경 인증 기관인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로부터 반도체 업계 최초로 조직단위 ‘물발자국’ 인증을 받았다.
|
삼성전자는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분쟁광물 미사용’ 선언을 하고 ‘지속가능한 코발트 채굴을 위한 산업간 협력 프로젝트’를 가동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1800명 이상의 콩고 광산 지역 주민들이 혜택을 받았다. 노동인권 관련 교육도 강화했다. 이주근로자 인권보호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국제이주기구(IOM)와 협업해 윤리적 채용에 대한 교육 등을 실시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 컨설팅기관인 BSR(Business for Social Responsibility)과 함께 새로운 노동인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지배구조 개선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삼성은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2017년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고, 각 계열사 대표이사와 이사회 중심의 독립경영체제를 안착시켰다. 2018년에는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를 분리해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했고, 지난해에는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으로 사상 차음으로 내부 인사가 아닌 사외이사를 선임했다. 지난해 초 출범한 삼성준법감시위원회는 삼성 지배구조의 합리적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다.
재계 관계자는 “전 세계 산업계의 화두가 된 ‘ESG’는 이재용 부회장의 ‘동행’ 비전과 사실상 같은 말”이라며 “글로벌 리더인 삼성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해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