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날궂이의 재미, 워터파크에서 만끽”
모 신문사들의 기사 제목이다. 이 기사 제목에 쓰인 ‘날궂이’는 국어사전에도 올라 있지 않은 말이다. 《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에서 발행한 국어사전)에 ‘날궂이’가 실려 있는데, 위에서 쓰인 ‘날궂이’와는 다른 뜻이다. 《우리말큰사전》에 ‘날궂이’는 ‘궂은 날, 집안에서 이야기를 하거나 먹을거리를 장만하여 시간을 보내는 일’의 충청 지역어, ‘개가 게우는 짓’의 경남 지역어로 올라 있다. 아무리 살펴보아도 기사 제목에 쓰인 ‘날궂이’와는 그 뜻이 같은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허, 상희 아범이 {날궂이를} 하는 걸 보니 비가 한줄금 하겠는걸.《김하기: 노역장 이야기》
그 후 미륵례의 어머니가 간혹 {날궂이를} 하느라고, 마당가에 나와서 마을을 내려다보며 악을 써대는 것 외엔 별로 시끄러운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은 채 또 얼마 동안의 세월이 갔다.《한승원: 폐촌》
김하기의 《노역장 이야기》에서처럼 ‘날궂이’를 하면 비가 오고, 한승원의 《폐촌》에서처럼 매칼없이(아무런 이유없이) ‘악을 써대는 것’은 ‘날궂이’의 한 행태이며, 오찬식의 《창부타령》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날궂이’는 ‘동네 챙피한’ 일이다. ‘날궂이’는 평상시와는 다르게 나타나는 이상한 행동이다. ‘머리에 꽃 꽂고 싸돌아 댕기고, 맥없이 히죽히죽 웃어대고, 길 가는 사람 붙들고 시비질하고, 매칼없는 하늘에 대고 욕지거리를 해대고, 고무신을 손에 들고 맨발로 걷고….’ 모두 비가 오기 전 날이 궂으려고 할 때 나타나는 전조들이다. 그것이 곧 ‘날궂이’이다. 물놀이장에서 노는 재미를 신문 기사에서 ‘장마철 날궂이 재미‘라고 표현한 것은 ’장마철에 물놀이를 하는 것‘이 정상적인 행동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우리의 인식 때문에 가능하다.
진씨의 {날궂이도} 은근히 기다려질 정도였다.《김하기: 노역장 이야기》
날이 몹시 가물면 은근히 ‘날궂이’가 기다려지기도 한다. ‘날궂이’는 원래 정신이 온전치 않은 사람들이 기압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이상한 행동을 가리키는 말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꼭 그것뿐만 아니라 평상시와는 다른 이상한 행동을 두루두루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날궂이’는 ‘하다’와 결합해 동사 ‘날궂이하다’로 쓰이기도 하며, ‘바람’과 결합해 ‘날궂이바람’과 같이 쓰이기도 하는데, ‘날궂이바람’은 ‘비바람’이다. ‘비바람’은 국어사전에 ‘비와 바람’ 또는 ‘비가 내리면서 부는 바람’의 뜻으로만 올라 있는데, 그것의 또 다른 의미는 ‘비가 오기 전에 부는 후텁지근한 바람’이다. 또한 충남 지역어에서는 ‘날이 궂은 날’을 가리켜 ‘날궂이씹’이라고 한다.
{날궂이하려고} 저런 것이 집안에까지 기어들어 오는가.《최명희: 혼불》
전라도 막막한 골 땅끝 어느 외딴 섬은//{날궂이바람} 불고 우우우 바다가 울면《윤금초: 개펄》
‘날궂이, 날궂이하다’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잘 쓰는 말이지만, 아직은 국어사전에 오르지 않은 소중한 겨레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