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블린대학교(DCD) 내에 의약품 표준생산시설(cGMP)시설을 갖추고 주로 바이오의약품의 생산전문 인력을 키운다. 지난해에만 4300명이 이곳을 거쳐 그중 80%가 아일랜드 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들어갔다. 빅파마 화이자, 머크, 로슈, 릴리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주목할 점은 과거 아일랜드가 주력 산업인 IT(정보통신) 산업의 몰락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구조를 바이오제약 산업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하는 과정에서 나이바이트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신흥 제약강국으로 급부상한 벨기에도 참고할 만하다. 벨기에는 ‘큰 세금 혜택’이라는 당근책으로 인재를 유인하고 있다. 벨기에 정부는 연구개발(R&D)에 대한 원천징수세를 80% 면제하고 특허료를 최대 80%까지 감면해주고 있다. 이런 덕분으로 경상도 크기에 불과한 벨기에에 존슨앤드존슨, 화이자, 노바티스, 머크 등 글로벌 상위 30개 제약기업 중 29개사가 R&D센터나 지사 등을 두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싱가포르도 정부 주도로 별도 교육기관을 설립해 바이오인력을 공급하고 있다. 대졸 인력 중에서 ‘떡잎’이 보이는 바이오 인재를 선별해 전액 국비로 18개월간 교육해 배출하고 있다. 주로 생산인력이 양성된다. 싱가포르 역시 법인세 등의 세금 지원도 적지 않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법인세율이 17%지만 바이오기업에는 최대 15년간 세금을 면제하거나 40년간 5~15% 낮은 법인세율만 매긴다.
국내에도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소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보건복지부도 지난 7월 충북 청주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 바이오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바이오인력개발 센터’을 열었다. 이 센터는 실무형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교육기관이다. 다만 지금까지 2기수, 120명이 과정을 수료해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