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순진(52)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는 지난 12일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은 전국적으로 있는 분산형 체계이다 보니 과거 대규모 발전 시설 때 소수 지역에 국한됐던 때와 달리 갈등이 늘어날 수 있다”며 “(지역 주민의) 거부감이 없을 순 없지만 참여와 대화를 통해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가치를 공유하면서 이익을 나눠 갖는다면 자연스레 수용성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12월 당시 6.2%이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리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추진해오고 있다. 그만큼 기존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 비중을 줄여 미세먼지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원전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나겠다는 취지다.
윤 교수는 “지역 주민으로선 없던 이질적 시설이 들어오니 당연히 반발할 수 있다. 가령 태양광 발전설비는 볕이 잘 드는 곳에 설치해야 하는데 지역 주민에게 추억이 있는 곳일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외지인이 투자해서 이익만 가져간다면 당연히 반발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이 잘못되거나 과장된 정보를 수용하기도 한다는 게 윤 교수의 설명이다. 태양광 패널 때문에 중금속 오염이 된다든지 풍력발전이 산림을 크게 훼손할 수 있다든지 하는 식이다.
그는 이어 “아무리 산림을 보존해도 기후변화 위기가 오면 다 파괴된다”며 “어떤 에너지 이용도 자연에 영향을 주지만 재생에너지는 화석연료나 원자력보다 그 영향이 현저히 적다는 걸 고려해 좀 더 멀리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은 이 같은 대의 아래 반발하는 지역 주민을 효과적으로 설득해야 한다는 게 윤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지역 주민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이익을 주는 시설이라는 점을 설득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사업 추진 단계부터 주민이 참여하고 주도하게 하고 그 이익을 공유하면 수용성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