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한국의 대(對)중국 무역수지가 최근 넉 달째 적자를 기록한 데 반해 대만이 중국과의 무역에서 탄탄한 흑자 기조를 이어갈 수 있었던 요인은 ‘반도체’ 경쟁력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표=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
28일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한국과 대만의 대중(對中) 무역구조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중 무역수지는 지난 5월 10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6월 -12억2000만달러, 7월 -5억9000만달러, 8월 -3억7000만달러 등 4달 연속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반면, 대만의 대중 무역수지는 지난 5월 18억4000만달러, 6월 16억달러로 규모는 줄었으나 줄곧 흑자였고, 지난 7월(30억8000만달러)과 8월(34억5000만달러)부터 규모도 커졌다.
무역협회는 한국과 대만의 대중 무역수지가 차이를 보이는 원인으로 반도체를 꼽았다. 최악으로 치닫는 양안 관계에도 대만의 대중 교역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가 대중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만 재정부 자료를 보면 대만의 올해 1~8월 대중 반도체 수출액은 430억달러로 전체 수출에서 51.8%를 차지했다. 지난해 연간 45.6%보다 비중이 커진 셈이다. 대만의 올해 1~8월 대중 반도체 무역흑자는 전체 무역흑자의 92.7%인 223억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 비중은 69.8%였다.
이와 달리 한국의 8월 대중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이 지난해 21%에서 올해 상반기 32%로 높아졌고,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현지생산이 늘어난 탓이다.
| (표=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
김경훈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은 올해 들어 한국과 일본에 대해선 무역적자 폭을 크게 줄였으나 대만에 대한 무역적자 규모는 줄이지 못하고 있다”며 “대만의 대중 수출에서 반도체 등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83.4%에 달하고, 중국은 전자·기계제품 등 중간재를 대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어 “대만이 대중 무역 수지 흑자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인은 대만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파운드리 기술력, 위탁수요 증가와 시스템반도체 위주의 대중 수출에 힘입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또 대만은 팹리스(설계전문)-파운드리(위탁생산)-후공정(패키징·테스트)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생태계를 자국 내 구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대중 수출통제에 따라 중국의 시스템반도체 수요가 대만으로 집중돼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이에 대만 정부는 중국에 진출한 대만 기업과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리쇼어링(국내 복귀)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기업과 핵심 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힘을 쏟고 있다.
| (표=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
정만기 무역협회 부회장은 “대만의 반도체 산업은 생산 전 범위에 걸쳐 튼튼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어 미·중 간 패권 다툼 속에 수출과 무역수지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안보 측면에서 국익을 지키는 전략적 무기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부회장은 “우리로선 메모리반도체의 강점을 살리면서도 시스템반도체와 반도체 장비 경쟁력을 높여가는 등 균형 잡힌 반도체 산업 서장을 추구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분업체제 내에선 기술력이 관건인 만큼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부 R&D 지원체제를 꾸준히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