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민주당의 참사에 대한 접근이, 국민적 공감대를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눈여겨볼 여론조사가 있다. SBS 여론조사(넥스트리서치 의뢰, 11월 7~8일 전국 성인 1006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 ±3.1%p)나 KBS 여론조사(한국리서치 의뢰, 11월 6~8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 ±3.1%p)를 보면, 참사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부적절하다는 비율이 69%에 달했지만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히려 민주당을 앞섰다. 이런 상황을 보면, 현재 참사에 대한 민주당의 대응에 대한 국민적 평가가 긍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참사 정국에서도 상당한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실제로 SBS, KBS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표 자신과 측근에 대한 수사가, 정당한 원칙에 입각한 수사라고 답한 비율은 각각 48.8%, 49.9%에 달해, 해당 수사가 정치 보복이라는 응답자 비율을 앞질렀다. 이런 여론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민주당의 적절치 못한 대응과 어우러져, 현재 민주당 지지율 정체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민주당이 ‘법 왜곡죄 도입법’과 ‘적 감사 방지법’ 제정을 주요 입법과제에 포함시킨 것도 지지율 상승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법 왜곡죄 도입법’이란 검사, 판사가 부당한 목적으로 법을 왜곡되게 적용했을 때, 형사 처벌하는 내용의 법안이다. 이런 법은 독일에도 존재하긴 하지만 독일의 경우 이념적 균열 구조가 우리만큼 심각하지 않고, 또 주(州)의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연방제 국가이기 때문에 이런 법 시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의 권력 구조는 연방제도 아니고, 정치 사회적 상황도 독일과 달라, 오히려 사법부의 독립성을 해칠 수 있다. 여기에 ‘표적 감사 방지법’까지 만들 경우, 자신들을 향한 사법 리스크에 대항하려 입법권을 남용한다는 의심을 살 수도 있다. 결국 민주당의 이런 태도와 행위가 종합돼, 현재 정국의 반사 이익조차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아무리 정치판이 엉망이라도, 국민들은 현명하게 판단한다. 국민들의 뛰어난 민도에 정치권이 보조를 맞추진 못해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똑똑한 척 머리 쓰지 말고 현명하게 처신하라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