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고용노동부 장관 주재 ‘데이터 활용’ 관련 민간기업, 은행, 고용노동분야 학회 등 전문가 간담회가 있었다. 이 자리에서 고용부는 ‘데이터 정부’ 구현을 위한 과감한 혁신안을 발표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고용노동분야 ‘원시 데이터 셋’ 25종과 ‘패널 데이터 셋’ 3종을 포함해 수요자가 요청하면 ‘맞춤형 데이터 셋’도 제공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에는 고용보험 가입, 실업급여 수급, 직업훈련 이력, 산업 및 지역별 임금 등 민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민감한 정보들이 포함돼 있다. 실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전면 개방된다니 참석자 모두 놀라는 기색이 역력했다.
그간 정부는 개별 전산망에서 관리하던 데이터를 ‘국가일자리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통합 표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온라인 고용서비스 및 행정지원을 위한 기초 작업을 해왔다. 그러나 민간으로의 데이터 개방은 일반화된 통계형식으로 공개하거나, 관리 부서가 승인한 원시 데이터를 제한된 형태로 제공하는 등 소극적인 측면이 있었다.
벨기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어떤 구직자가 얼마나 오랫동안 실업 상태에 놓일 것인지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분석 결과에 의한 취업 확률에 따라 구직자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색깔로 구분해 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직자의 취업 기회를 높일 수 있는 역량기반 매칭시스템을 통해 맞춤형 권고를 제안한다. 이는 어떤 회사가 트럭 운전기사를 채용하려 할 때 이력서에는 기재돼 있지 않더라도 과거의 일자리 경력에서 트럭을 운전했던 구직자를 찾아 추천하거나 적합한 직업훈련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중장기적으로, 고용센터 민원창구에서 근무하던 인력들의 역할은 달라질 것이다. 가령,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일차적으로 폭넓은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 깊은 상담이 필요한 구직자를 위해 심층적 분석과 솔루션 과정에 투입해 ‘고품질 고용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 고용노동데이터의 전면 개방에는 시행에 앞서 여러 정부 부처들과 긴밀한 협업, 개인정보 보안과 데이터 왜곡 방지 등 정교하고 치밀한 준비 작업과 힘든 난제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일자리의 양과 질을 동시에 높이고 생애 전주기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명실상부한 디지털 강국을 선도하는 촉매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