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챗GPT가 아직 열광을 받기 이전인 2021년 ‘AI에 국제경제법 적용(Applying International Economic Law to Artificial Intelligence)’이라는 논문을 통해 AI 관련 국제투자법, 저작권법, 세법 등 일반적 규칙이 필요하다고 선구적으로 제안한 석학이다.
특히 그는 AI규제법이 나라마다 파편적으로 추진되는 점을 거론하며 유엔(UN) 등 국제사회가 공통 원칙에 합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지난해 11월 법이 아닌 행정명령을 통해 AI를 규제하기로 했다. 기업에 독립적으로 AI위험성을 검증하는 레드팀(red team)을 의무적으로 도입하고 시험 결과를 정부에 제출하도록 하는 등 일정 수준 기업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외국 고객을 신고하도록 했는데, 국가안보에 중점을 두고 중국 등 적대국이 AI기술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뒀다. EU와 비교해 규제 강도에 차이가 있다.
그러면서 AI가 가져올 세계에 대한 새로운 법 체계를 다시 짜야한다고 강조했다. 챈더 교수는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AI 관련 문제가 발생했을 때 AI시스템을 구축한 회사와 실제 환경에서 사용한 회사 중 누가 책임을 져야하느냐”라며 AI규제가 간단치 않음을 꼬집었다.
이어 그는 “과거 우리는 로봇이 아닌 인간을 위한 규칙을 만들었다면 이제는 기계가 의사결정을 내리는 세상에 대비할 준비가 돼 있는지 법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개혁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