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증 구독자수도 상당히 선방했다. 회사 가이던스(-200만명) 대비 적은 97만명 감소에 그쳤다. 미국·캐나다에서 130만명, 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 77만명이 줄었으나 아시아태평양에서 108만명, 라틴아메리카에서 1만명이 늘었다. 3분기 구독자 가이던스로는 100만명 순증을 제시해 상반기의 손실분을 만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최근 달러 강세 효과를 반영해 실적 가이던스로 3분기 매출 증가율 4.7%, 영업이익 증가율 -28.5%, 영업이익률 16.0%(-7.5%포인트)로 낮게 제시했다. 현재 매출액의 60%가 미국외 지역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계정 공유시 추가요금을 부과하는 정책도 확대한다. 아르헨티나 등 중남기 5개국에서 거주지 밖 계정 접속 시 추가 요금을 청구하는 방안인데 앞서 칠레, 코스타리카, 페루 등에서 진행했던 정책 대상 지역을 확대하는 것이다.
콘텐츠 투자도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로컬 콘텐츠에 대한 투자는 물론 예능 등 ‘대본 없는’ 콘텐츠에 대한 투자가 늘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멀 로직’을 인수했고 모바일 게임도 현재까지 총 24개를 선보였다.
조심스런 의견도 있다. 김세환 KB증권 연구원은 “넷플릭스의 2022~2024년간 주당순이익 연평균 성장률(CAGR)은 7.5%로 시장의 9.4%를 하회하고 디즈니의 40.4%대비 낮은 수준”이라며 “12MF PER은 16.9배를 반영한 PEG 배수는 2.2배로 디즈니 0.5배, 시장 1.7배를 하회하고 있는 점도 이익 성장성을 반영한 주가가 상대적으로 고평가 되어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