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시 이에 동의했다.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원자력발전이 유지된다면 탄소 배출 감축은 한결 더 쉬워질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고 했다. 실제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가 최근 확정한 2050년 탄소 배출 제로(0) 목표에선 2050년까지 원자력발전 비중을 현재 대비 3분의 1 수준인 6.1∼7.2%까지 축소한다는 목표가 포함돼 있다.
|
다만 “나중에 원자력을 크게 줄이거나 아예 없앤다는 결정을 내린다면, 상대적으로 안전해 차세대 원전으로 불리는 소형모듈원전(SMR)과 같은 대체재를 개발해야 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며 “SMR이 상용화되는 건 2040년 이후이겠지만, 그 때를 대비해서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원자력발전 유지 여부에 대해서는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경제성 평가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며 특히 사용후 핵 연료 주기까지 감안해 경제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사용후 핵연료 처리비용이나 고준위 핵처리 비용 산정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또 원자력 사고로 인한 피해비용을 추정하기도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원자력의 경제성은 논란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경제적인 기준보다는 정치적인 기준에 따라 원자력을 계속 유지하느냐를 결정하는 편이 낫다고 본다”고 했다.
노 연구위원은 “지금 상황에서 이를 포기한다면 좌초자산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만큼 그 부담을 정부가 떠안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회도 서둘러 에너지전환지원법을 통과시켜 정부가 석탄발전 폐기에 따른 재정 지원과 일자리 전환 대책을 신속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