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위원은 보고서의 핵심 메시지로 “지금처럼 생산·소비 방식을 지속하면 기후 재앙을 막지 못하지만, 가용 수단을 활용하면 파리협정이 목표로 한 1.5℃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꼽았다. 이어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50% 가까이 줄일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것도 골자”라고 했다.
그러면서 제시한 것이 ‘소비 다이어트’다. 예컨대 화상 회의를 하면 회의장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돼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일 수 있다. 복장을 여름에는 가볍게, 겨울에는 두텁게 하면 냉난방을 줄여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식생활 변화도 중요하다. 전 세계 탄소배출량에서 식생활에서 비롯하는 것이 28%가량이다. 가축을 기르고 쌀을 재배하는 등의 과정에서 메탄이 발생한다. 그런데 인간이 준비한 음식의 최대 40%는 먹지 않고 버린다. 먹을 만큼 먹고, 되도록 육식보다 채식하는 게 탄소배출을 줄이는 길이다.
그러나 이는 의지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유인책이 따라야 한다. 핵심은 탄소를 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이고, 방안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장을 키우는 것이다.
김 위원은 “우리는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인센티브에 기초한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며 “자발적 선의에 의존해선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결국 온실가스 감축이 경제적으로 이득이 되도록 하는 게 유인책”이라며 “탄소시장 활성화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인센티브를 제공해 개인과 기업 참여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IPCC 보고서의 또 다른 밑줄 포인트는 ‘저탄소 경제로 전환이 고용과 성장을 촉진한다’는 대목이다. 김 위원은 “온실가스 배출에 비용을 붙여 거둬들인 수익으로 양극화를 해결하고 고용을 촉진할 수 있다”며 “이로써 온실가스 감축과 동시에 경제 성장이라는 성과도 거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용건 선임연구위원은
△서울대 경영학과 △한국과학기술원 산업경영학박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국 컨설턴트△한국환경연구원 기후변화연구실장, 기획조정실장, 탄소중립연구실 선임연구원(현) △한국기후변화학회 감사 △한국환경경제학회 이사 △환경부 기후변화R&D사업 연구단장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 △IPCC 5차 및 6차 평가보고서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