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층 구조의 석조 건물인 영빈관은 이전 정부까지 국빈 만찬과 연회, 대통령 주재 회의 등 공식 행사장으로 자주 사용됐다.
푹 주석과의 국빈 만찬은 지난 5월 10일 윤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일반에 전면 개방된 청와대 시설이 대통령실 행사에 활용된 첫 행사였다. 영빈관 행사 자체는 전임 문재인 정부 때인 작년 12월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국빈 만찬 이후 약 1년 만이다.
이번 행사를 치러본 경험을 토대로 국격에 맞는 행사에는 청와대를 다각도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특히 영빈관의 경우 외빈 접견 뿐 아니라 대통령 주재 회의 등 대규모 행사에도 적극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시설을 활용하기로 한 것은 영빈관 같은 공간을 찾기가 어렵다는 현실적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초 대통령실이 추진하던 ‘국가 영빈관’(가칭) 설립이 여론 반대 속에 무산되면서 일단은 영빈관 등 청와대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영빈관 신축 비용 878억6300만원 중 497억4600만원이 반영된 사실이 알려진 뒤 야권 반대에 부딪혀 좌초됐다.
또 박정희 정부 때인 1978년 건립된 영빈관이 낡았지만, 전임 정부 때 수리를 통해 시설이 많이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
대통령실 관계자도 지난 8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지난번 (베트남 국가주석) 국빈 방문 때 영빈관을 처음 사용하면서 행사가 매우 원활하게 진행됐고 국빈도 만족했다고 저희들은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영빈관을 축구대표팀 환영 만찬 장소로 낙점한 것도 이들에 대한 최대한의 예우를 갖추기 위해서다.
다만 대통령실은 애초 청와대 영빈관 활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용산 집무실 이전을 직접 발표하면서 청와대 영빈관을 임시 이용하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
청와대 영빈관이 대한민국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고 국격에 맞는 장소로 재조명되고 있다. 청와대 시설이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부정적인 이미지 대신 한국의 국격을 높여주고 신구 권력의 가교가 되어주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