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전시] 변월룡, 사회주의 예술가의 휴머니즘

  • 등록 2019-05-12 오전 4:37:00

    수정 2019-05-12 오전 4:37:00

(사진=학고재 갤러리)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소비에트 미술은 많은 사람들에게 선전 예술로 잘 알려져 있다. 학고재 갤러리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시의 주인공 변월룡 역시 탁월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가였다.

다만 변월룡이 남다른 것은 그가 연해주에서 태어난 고려인이었다는 점이다. 특히 변월룡은 러시아 최대 미술대학인 상트페테르부르크 레핀 회화·조각·건축 예술대학을 입학해 수석으로 졸업한 천재로, 소비에트에서도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작가였으나 북한에서 끝내 숙청돼 다시 고국을 밟지 못했다.

2016년 한 미술평론가의 노력으로 덕수궁 미술관에서 처음 열린 전시는 국내에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예술적 탁월성을 알릴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지난달 17일부터 학고재 갤러리에서 진행되고 있는 ‘우리가 되찾은 천재 화가 변월룡’ 전(5월19일까지) 역시 마찬가지다.

덕수궁 미술관을 통해 처음 진행된 변월룡의 전시에서 눈에 띄었던 것은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ist Realism) 작가가 아니라 보편적인 예술가로서 변월룡의 작품에 다가가자는 기획자의 호소였다. 곳곳의 설명에 사회주의 리얼리즘 특유의 도식성보다 작가의 개성적인 표현을 발견해달라는 당부가 발견됐던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그림에 별 관심 없는 이들이라면 대충 넘기고 말겠지만, 회화 양식의 역사에 대해 주워들은 적 있는 이들은 왜 당시 전시회가 가장 전형적인 소비에트 리얼리스트를 소개하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딱딱한 단어를 멀리하려 하는지를 얼마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공산주의 체제의 경직성이 서구 자유주의 진영에 미친 부정적 각인의 효과는 어마어마하며, 예술도 예외일 순 없다. 지도자를 장엄한 풍채로 묘사해 신성화하는 소비에트 선전 미술 특유의 정치성은, 예속되지 않는 자율성을 추구해온 서구사회의 현대미술에는 모욕이나 다름 없는 것이다.

그래서 변월룡을 있는 그대로 보자는 요청은 의식적 구호를 넘어 실제 그의 작품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이 된다. 그의 전시는 한 소비에트 예술가가 정치적 목적성에 매몰된 것 이상의 예술 세계를 어떻게 전개할 수 있었는지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변월룡이 그린 노동자 초상엔 하나같이 주인공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 선전의 주인공으로 삼기 앞서 한 인간으로서 대상을 존중하는 작가의 태도가 거기서 드러난다. 항구에서 일하며 여유 있게 웃어 보이는 고려인 여성 ‘한슈라’ 역시 예외가 아니다. 조금 과장되게 크게 그려진 그의 초상 앞에선 누구라도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그런 경외감은 우리가 으레 떠올리는 개인적 성취에 대한 것이 아니다. 작가는 평범한 노동자를 영웅으로 추어올리는 사회주의적 신념을 형상화하는 동시에, 그러한 정치적 목적에도 사라지지 않는 인간존재의 숭고함을 되새길 것을 이 그림을 통해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사회주의 예술이 아름다울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바로 이런 데 있다. 교조적이라는 이유로 흔히 기각되는 예술의 당파성이 이들이 그려낸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 말이다. 오히려 그들은 이 정치적 색채의 여백 안에 현대미술에서 흔히 기각되는 휴머니즘을 새겨넣는 데 성공했다.

사회주의는 전체주의와 몰개성의 상징으로 이해된다. 다만 우리는 사회주의가 범상한 개인의 삶을 공식적으로 흠모하고 찬양해온 유일한 체제임을 기억해야 한다. 사회주의 외에 그 어떤 체제도 기층 대중의 삶을 영웅적인 것으로 묘사한 적이 없다. 초기 사회주의 예술이 급진적인 아방가르드의 세계에서 교화를 위한 구태의연한 자연주의로 회귀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들이 비록 선전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라 하더라도, ‘보통 인간이 주인공이 되는’ 예술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아무런 장식도 없는 단색의 사각형 하나로 표현상의 혁명이 정치적 혁명을 대변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그의 절대주의까지 가지 않더라도, 소비에트 예술을 그저 조야한 선전미술로 묘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는 도처에 있다. 선이 두텁고 부드러움에도 인물들의 동세 또한 잘 살아있어 현대적인 감각마저 발견되는 초상화부터, 경이로운 수준의 세밀함이 돋보이는 동판화들까지, 변월룡이 그려낸 작품들 역시 그같은 증명의 명징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사진=학고재 갤러리)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