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 개최를 목표로 탄소중립국제박람회를 준비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총리실 산하 탄소중립위원회, 외교부 등 유관 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민관합동 형태의 대규모 국제행사로 계획 중이다.
국제박람회 개최를 구상한 이는 한 총리다. 지난달 그는 한 포럼 행사에 참석해 “대한민국이 올해부터 국제 기후변화 엑스포를 유치(개최)할 예정”이라며 “CES와 같은 국제적인 행사를 대한민국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국제적인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한 총리의 지시 이후 일부 부처를 중심으로 초안이 만들어지고 있다.
박람회 성격은 기후위기 대응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탄소중립 관련 기술이 망라될 것으로 보인다. 한 총리가 예로 든 CES처럼 신기술을 발표하는 동시에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신제품이 전시될 것으로 보인다. 박람회가 민관합동 형태로 추진되는 이유도 기술을 갖춘 대기업이 다양한 탄소중립 관련 신기술·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
정부 관계자는 “각 부처의 행사와 예산을 모으고 부족한 부분은 추가로 예산을 확보해 국제적인 규모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호재 기대
|
박람회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정부가 적극 힘을 싣고 있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난달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 2차 경쟁 PT에서 한 총리가 직접 프랑스어와 영어로 발표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영상 메시지를 보내는 등 총력전을 펴고 있다. 부산이 도전하는 세계박람회는 앞서 대전, 여수에서 열렸던 규모가 작고 주제가 한정된 인정 엑스포가 아닌 ‘전문박람회’다.
세계박람회 유치는 향후 BIE 현지실사(2023년 1~3월), 4차 PT(2023년 6월), 5차 PT 및 개최지 투표(2023년 11월) 등의 절차를 남겨두고 있어 탄소중립국제박람회가 뚜렷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박람회를 잘 치러낸다면 현지실사 및 4·5차 PT에서 각국 대사를 설득하는 데 한결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산세계박람회 주제인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 및 부제 ‘자연과 지속가능한 삶’과도 탄소중립국제박람회 사이에 연결고리가 많은 것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정부 관계자 역시 “탄소중립박람회 성공적 추진은 세계박람회 유치 의지와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을 지낸 조용성 고려대 교수는 “박람회가 잘 개최된다면 한국이 탄소중립을 주도한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주요국과 함께 탄소중립 관련 의미있는 발표문이나 선언문 같은 합의가 이뤄져야 더 뚜렷한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