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테크로 분류되는 카카오와 토스는 많은 계열사들을 거느리고 직접 금융업에 진출하고 있는 반면,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한 `연결`에 집중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스스로가 핀테크(Fin-Tech)가 아닌 테크핀(Tech-Fin) 업체라고 부르고 있다. 기술을 앞세워 기존 금융사와의 제휴를 통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이 관심이기 때문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매장이 없는 온라인 사업자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소상공인(SME) 대출`, 후불결제와 오프라인 결제를 확대한 간편결제로 승부를 보겠다는 전략이다.
“단순 제휴 넘어 클라우드·AI 활용한 협업 다각도로 모색”
2일 네이버파이낸셜에 따르면 미래에셋캐피탈, 우리은행과 제휴해 스마트스토어 사업자 대출을 제공 중이며, 지난 7월에는 전북은행과 디지털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네이버파이낸셜의 협업 전략의 결과물이 바로 스마트스토어 대출로, 온라인 사업자의 매출 흐름, 판매자 신뢰도 등을 기반으로 신용도를 평가해 최저 연 3.2% 금리의 대출을 제공한다. 스마트스토어 대출은 출시 6개월 만에 대출액 500억원을 돌파했다.
회사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경우 대출 뿐만 아니라 스마트 캠퍼스 관련 네이버클라우드와의 협력도 포함된 제휴 관계를 맺었다”며 “금융권의 디지털 금융 사업에 네이버의 기술력을 지원하는 형태의 협력을 다양한 측면에서 모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네이버파이낸셜은 간편결제 부문을 강화하는 데 집중한다. 네이버 온라인 쇼핑 결제에 주로 쓰이는 네이버페이는 거래액 중 결제 비중이 높아 이익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네이어페이의 온·오프라인 가맹점은 대한항공 등 대형 외부 제휴처를 추가하면서 지난 2분기 기준 180만개로 전년동기대비 67% 급증했고, 이에 힘입어 네이버페이 결제액도 9조1000억원으로 47% 늘었다.
대출 옥죄기에도 핀테크 플랫폼 역할 미미…아쉬움 남아
다만, 성과는 미완성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이 출범당시 계획했던 대로 사회초년생, 소상공인 등 금융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부분은 부족하다. 최근 금융권의 가계대출 옥죄기로 신용대출 한도가 제한되고, 마이너스 통장이 막힌 상황에서, 비용효율적인 핀테크 플랫폼의 역할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아쉬움도 크다.
회사 관계자는 “(우리는)사업자 대상의 대출이라 금융권이 가계대출을 규제한다고 해서 풍선효과 등의 영향은 없다”며 “우리은행과 제휴해 지난 7월 대출 상품을 내놓은지 얼마되지 않은 상황이라 새로운 대출 상품에 대한 계획은 현재로선 없다”고 했다.